‘간첩사건’ 괘씸죄라고?
문제는 김 원장이 사의를 표한 날이 공교롭게도 민노당 간첩사건이 발생한 날이라는 점이다. 김 원장의 사의 표명 소식을 접한 일부 정치권이 국정원의 간첩사건 수사 발표와 연관지어 해석하는 등 갖가지 억측이 나돌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청와대 386 참모진이 자칫 386 정치권 및 재야 운동권 인사들에게 불똥이 튈 수 있는 간첩사건을 북핵사태로 안보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정원이 발표하자 ‘괘씸죄’로 역공을 취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다.
실제로 국정원 관계자는 북핵사태 이후 한나라당 등 야권에서 제기한 외교안보라인 전면 교체론과 관련해 “통일부나 외교부, 국방부 등은 개별적인 인사 요인이 있지만 국정원은 다르다”며 정치권 주변에서 나돌고 있는 김 원장 교체론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었다.
하지만 청와대는 괘씸죄 의혹과 관련해 ‘전혀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이다. 김 원장은 북한 핵실험 사태가 발생했을 당시 내부 간부회의에서 정보수집 실패를 거론하며 이미 사의 결심을 했고 그 시점이 공교롭게도 간첩사건 발표와 맞물렸을 뿐이라는 게 청와대측의 설명이다.
정치권 관계자들도 결정적인 증거를 확보하는 등 혐의가 드러났을 때 그 결과물을 발표할 수 있는 대공수사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김 원장 사의 표명과 간첩사건을 연결시키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김 원장 사퇴가 오비이락일지 아니면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음모론의 희생양일지 그의 사의 표명 배경을 둘러싼 뒷말은 간첩사건으로 불붙은 사상 논쟁과 맞물려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홍성철 기자 anderia10@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