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도 저조하고 기존 은행도 부진”
지난 5월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심사에서 탈락한 토스뱅크(가칭)는 최근 간접적으로 인터넷전문은행 포기 의사를 내비쳤다.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운영사) 대표는 지난 18일 서울 강남구 디캠프에서 열린 ‘핀테크 스케일업 현장간담회’에서 “증권업 진출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금융당국이 불가능한 안들을 제시해 내부적으로 중단을 검토하고 있다”며 “같은 이슈가 인터넷전문은행에도 적용돼 이 분야 진출도 포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토스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 진출에 대해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지만 아직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전했다.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 위치한 키움증권. 사진=일요신문DB
인터넷전문은행 유력후보로 꼽혀오던 네이버는 불참 의사를 공식화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지난 20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인터넷전문은행 인가를 신청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KEB하나금융, 미래에셋대우 등도 인터넷전문은행 참여 여부에 대해 아직까지 구체화된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제1호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K뱅크)의 현 상황을 보면 업체들이 참여를 꺼려하는 게 이해할 만하다. 금융감독원(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K뱅크의 BIS(국제결재은행) 기준 총자본비율은 10.62%로 국내 시중은행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르면 총자본비율이 10.5% 아래인 은행은 배당이 제한되고, 8% 아래로 떨어지면 금융위가 경영개선 조치를 권고해야 한다.
K뱅크는 증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자본 확충에도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 7월 276억 원 규모의 증자를 단행했지만 경영 정상화를 이루기에는 부족해 일부 대출 상품의 판매가 중단된 상태다. 지난 8월에는 K뱅크 주주인 DGB금융지주가 K뱅크 증자에 참여하지 않겠다고도 밝혔다. 뿐만 아니라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K뱅크는 지난해 797억 원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실적도 좋지 못하다.
제1호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K뱅크)의 현 상황을 보면 업체들이 참여를 주저하는 게 이해할 만하다. 사진=연합뉴스
신한은행의 ‘쏠(SOL)’이나 KB국민은행의 ‘리브(Liiv)’같은 시중은행들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앱)과 인터넷전문은행의 차별화가 없다는 지적도 있다. 금융 혁신을 인터넷전문은행을 통해서만 할 수 있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차량을 만드는 라인이 있으면 옆에 소형차 라인을 증설하면 되는데 새로운 차량 브랜드를 론칭할 이유가 없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말했다.
금융권 일부에서는 현 정부의 무리한 정책 추진이라고 주장한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이 직접 발언한 정책을 이제 와서 뒤집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시장 전체적으로 봤을 때 (제3호 인터넷전문은행이) 굳이 필요한가 싶기는 하지만 이미 발표한 정책이어서 어쩔 수 없는 것 같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인터넷전문은행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업체가 없어 제3호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에는 난항이 예상된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위는 ICT 기업이 인터넷전문은행을 주도하는 걸 요구하고 있어 지분 34%까지 출자할 수 있는 혁신적 ICT 기업이 있어야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이 가능하다”며 “자본금이 최소 1조 원은 있어야 은행 운영이 가능한데 (1조 원의 34%인) 3400억 원을 조달할 만한 혁신적인 ICT 기업이 별로 없고, 있어도 하지 않겠다고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박형민 기자 godyo@ilyo.co.kr
소상공인들이 인터넷전문은행에 진출한 내막 현재까지 인터넷전문은행 진출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곳은 ‘소소스마트뱅크’ 한 곳뿐이다. 소소스마트뱅크는 서울시소기업소상공인연합회가 주도하는 곳으로 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특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소소스마트뱅크 설립준비위원회 관계자는 “소기업이나 소상공인들은 제1 금융권 대출이 쉽지 않아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며 “각 지역 상인회들의 동의를 얻어 신용불량자들에게도 대출을 해주려고 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자본력이나 혁신 ICT 기업 참여 등의 문제로 금융위 심사 통과를 장담할 수 없다. 앞의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253개 시군구에 총 6만 명의 회원이 있는데 이들이 일정액의 돈을 내면 (금융위가 제시한 자본금 기준인) 250억 원이 넘는다”며 “아직 밝힐 수는 없지만 금융권 등 다른 업체들과도 이야기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형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