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은 부족해도 지나쳐도 건강 해쳐···하루 6∼8시간 유지해야”
올해 세계 수면의 날 슬로건은 ‘모두가 잘 자는 건강한 사회’로 정했다. 나라별, 직업별, 개인별로 처한 환경은 다르지만 저마다 수면장애에 시달리고 있는 만큼, 잠을 자는 것만이라도 평등해지자는 바람을 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내 수면장애 환자는 2018년 85만 5,025명에서 지난해 109만 8,819명으로 28.5%나 급증했다. 2022년 기준 연령대로 살펴보면, 60대가 23%로 가장 많았고, 50대 18.9%, 70대 16.8% 순이었다. 수면장애 환자 열 명 가운데 여섯 명이 50대 이후로 나타나 장·노년층 수면의 질 개선이 절실하다.
부산 온종합병원 수면장애클리닉 이수진 과장(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불면증은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겪는 현상이고 그 형태도 무척 다양하다”고 말했다. 잠들기가 어렵거나 중간에 잠이 깨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너무 일찍 일어나는 경우 등이 불면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잠 못 드는 사람들은 먼저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원인이나 형태에 따라서 치료법이 달라져서다. 불면증의 가장 흔한 형태는 수면 습관을 잘못 들여서이지만,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 수면위상증후군, 하지불안증후군, 기면병 등 불면증을 초래하는 질환들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해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 중에 발생하는 신체의 다양한 변화를 측정해 수면장애를 진단하는 검사다. 수면 중 뇌파, 안구 운동, 근육의 움직임, 호흡, 심전도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동시에 수면 상태를 비디오를 통해 녹화한다.
검사에서 얻어진 기록을 분석해 수면과 관련된 원인이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방침을 정한다. 수면장애의 종류와 심각 정도를 파악하고,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수면다원검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온종합병원 수면다원검사센터 이봉희 센터장(이비인후과 전문의)은 “수면다원검사는 비침습적이어서 안전하고 편안하다”며 “수면뿐만 아니라 수면 중 여러 가지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수면장애를 예방하고,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유지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되는 검사”라고 강조했다.
수면장애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수면 다원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이 센터장은 덧붙였다. 코골이가 심할 경우 수면 중 양압기를 착용하게 하거나, 수술을 통해 기도를 넓혀줄 수도 있다.
대한수면학회에 따르면 사람은 일생의 4분의 1 내지는 3분의 1을 잔다. 수면은 몸의 피로를 회복시키고 생체리듬을 유지해 주기 때문에, 잠을 충분히 자는 것은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고 대한수면학회는 설명한다.
일상생활을 잘 유지하려면 하루 6∼8시간 정도의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다. 이보다 부족하게 되면 피로가 쏟아지면서 집중력이 떨어지고 운동 능력이 저하되기도 한다. 수면시간을 줄일수록 비만이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도 있다. 그렇다고 잠을 많이 자더라도 적정 수면 시 이상의 건강효과를 얻지는 못한다.
대한수면학회가 제시하고 있는 ‘수면 십계명’은 우선 일요일에 늦잠을 자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늦잠이 일요일 밤 불면증을 불러올 수 있어서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먹고 마시는 것을 삼가는 것도 수면에 중요하다. 자는 동안 위장도 쉬어야 하므로 음식물 섭취는 위장에 많은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자율 신경계와 심장 또한 쉬지 않게 만들 수 있어 편히 잠들기 어렵다.
이밖에도 △각성효과가 있는 카페인과 니코틴을 피하라 △가능하면 운동을 매일 규칙적으로 하고, 낮시간에 밝은 햇볕 아래서 실시하라 △실내는 선선하게 유지하고 손발은 따뜻하게 하라 △낮잠은 짧게 자라 △황제의 침실을 부러워 마라 등이 대한수면학회에서 제시하는 수면 방법이다. 특히 침실에서 TV나 라디오 등의 소음은 청각을 자극하게 되고 우리의 뇌를 깨우기 때문에 수면을 방해하므로 절대 피하라고 조언했다.
정동욱 부산/경남 기자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