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 시대 우마차를 꿈꾸다
듣기만 해도 가슴이 뭉클해지는 고향의 풍경들이다. 지금은 서서히 사라져 가는 것들이기에 더더욱 고향을 떠나온 중년의 도시민들에게는 정다운 것들이다.
일간지 기자이자 사진작가인 이호준이 글도 쓰고 사진도 찍어 만든 <사라져 가는 것들, 잊혀져 가는 것들-그때가 더 행복했네>(다````````미디어)는 현대화에 밀려 사라져 가는 우리 고향의 옛 모습들을 차분히 기록하고 있다.
“원두막이 참외나 수박을 지키기 위해 만들어졌다고는 하지만 각박함을 상징하는 것만은 아니었다. 밭주인은 동네 아이들이 참외 몇 개쯤 따가는 건 못 본 척 눈감아 주기도 했다. 애들 역시 재미로 서리를 할 뿐 참외나 수박 농사를 망칠 만큼 따 가는 경우는 없었다.”(원두막)
“비 오는 날 지걱거리며 다닐 때의 그 묘한 울림과 가락, 송사리나 붕어를 잡는다고 작은 냇물을 막고 고무신으로 물을 퍼낼 때의 그 신나던 손놀림이야 어찌 잊을 수 있을까.”(고무신)
“과도함은 부족함만 못하다는 걸 몸으로 말해 줬다. 어쩌면 그 정도의 빛이 삶을 영위하는 데 적절한 것인지도 몰랐다.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빛은 등잔불 만큼이어야 밤하늘의 별도 제대로 반짝이고, 반딧불도 소중해 지는 것이었을 게다.”(등잔)
“그러면서 손에 든 무언가를 조심스레 내밀었다. 아이들의 시선이 모두 그 손으로 쏠렸다. 허름한 보자기에 산 달걀꾸러미였다. ‘보답을 혀야 쓰겄는디, 집에 이것밖에```````````어서….’ 선생님은 머리에 화로라도 뒤집어 쓴듯 펄펄 뛰며 손사래를 쳤지만 그녀는 달걀꾸러미를 교탁 위에 놓고 도망치듯 교실을 나갔다. 아! 달걀 한 꾸러미. 생각해보면 그건 그냥 달걀꾸러미가 아니었다.”(달걀꾸러미)
단편 소설과 같은 글과 사진이 정겨움을 더하는 책에는 ‘청보리 일렁이던 고향 풍경’ ‘연탄 등잔 그 따뜻한 기억’ 등 4부로 나뉘어 40가지의 잊혀져가는 것들이 한가위에 찾은 고향처럼 조용히 담겨져 있다.
‘고향에 갈 때마다 다시는 볼 수 없는 것들이 하나씩 늘어가는 걸 확인하며 마음이 편치 않았다’는 저자는 들어가는 글에서 “야금야금 맛보는 느림의 미학은 달콤했습니다. 마차의 삐걱거리는 소리, 쇠똥 냄새와 함께 할 수 있다는 건 혼자만 누리는 행복”이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이규용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