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도입 마을마다 의미 있는 변화... 소득 증대+영농효율 제고+공동체 회복 등 효과
[일요신문] 도입 3년째를 맞은 ‘경북형 마을영농’이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고 있다. 경북형 마을영농 육성사업은 경상북도가 농촌 고령화 등의 위기에 대응해 일본 집락영농(集落營農)을 전략적으로 수정․도입한 영농시스템으로 지난 2013년 도입 후 지난해까지 8개 마을에서 추진되고 있다.
경북형 마을영농의 핵심은 기존 개별농 중심의 농업 생산체계를 공동체 개념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현행 개별소유․개별영농을 마을단위 공동경영으로 전환해 농지와 농기계 등 생산수단을 함께 이용하고, 노동력은 한 곳으로 집중해 생산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사업 초기에는 현장 농업인들조차도 우리 실정에는 맞지 않을 것이라 우려했지만 그간의 성과는 성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가 2013년에 시작한 3개 마을을 자체 평가한 결과를 보면 우선 소득 증대가 가장 눈에 띈다.
3개 마을 모두 소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안동 금계마을과 문경 신전마을의 경우에는 평균 7천여만 원이 늘어났다. 농기계의 공동이용을 통해 개별 농기계 구입비용을 줄이고, 공동 유통계약을 통해 판로도 함께 개척하는 등 부수적인 경제효과도 상당하다.
개별로 하던 벼 육모 준비 등이 공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노동의 효율성도 크게 높아졌다. 이렇게 발생한 잉여노동력은 인근 농공단지에 새로운 일자리를 구하거나, 다른 소득작목 경영으로 이어져 부가적인 소득 창출을 가능케 하고 있다.
특히, 위기를 맞고 있는 농촌 공동체 회복에도 긍정적이라는 분석이다. 개별로 농사를 지을 때는 농번기에 서로 얼굴보기도 어려웠지만 마을영농을 통해 공동취사, 공동작업 등이 상시화 되면서 주민간의 소통과 화합지수도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긍정적 변화들로 인해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호응도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문경 신전마을의 경우, 첫 해에는 벼 70ha로 시작했으나, 작년에는 92ha로 늘어났고, 나머지 2개 마을에서도 주민참여도가 높아지고 있다. 새롭게 사업을 추진하려는 신청 문의도 크게 늘고 있다.
도는 이번 조사를 통해 경북형 마을영농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있다고 보고 앞으로 컨설팅 지원 등을 통해 문제점 보완에 힘쓰는 한편, 올해에도 5개 마을을 추가 선정하는 등 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지난 해 12월 도와 창조경제혁신 파트너십을 체결한 삼성과 연계해 ‘경북형 마을영농’을 대한민국 대표 영농모델로 정착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경북형 마을영농은 고령화와 FTA 위기에 대응한 경북의 핵심 전략이다. 앞으로 마을영농을 통해 우리 농업에 새판을 짤 수 있도록 전 행정력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동주 기자 ilyo88@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