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비즈니스센터 건립지역 결정되지 않았다”
전북연구개발특구 유치와 관련,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송하진 전북지사. <전북도 제공>
[일요신문] 전북도가 13일 오랜 숙원사업 중 하나인 전북연구개발특구를 산고 끝에 마침내 유치했다.
전북의 이번 특구 지정은 2010년 3월 이래 4번째 만이다. 이로써 농생명융합산업과 탄소를 비롯한 첨단소재산업 등 전북의 산업구조가 고부가가치 지식기반 산업구조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지난 2005년 대덕특구를 시작으로 2011년 광주·대구특구, 2012년 부산 등에 이어 5번째다.
전북특구는 전주시와 완주군, 정읍시 일원 등 15.9㎢에 걸쳐 농생명산업의 창조산업화와 미래 첨단산업용 소재인 탄소섬유 등 융복합 소재 관련 기술 사업화를 촉진하는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
지정 전체 면적은 15.9㎢로 연구기관과 대학이 집적한 융복합소재부품 거점지구(완주·4.5㎢)농생명융합 거점지구(정읍·1.5㎢), 사업화 촉진지구(전주·혁신도시·9.9㎢) 등 3개 지구로 구성됐다.
이와 관련 송하진 지사는 이날 오후 4시 전북도청 브리핑룸에서 전북연구개발특구 유치 기자브리핑을 가졌다. 브리핑 직후에 열린 기자들과의 질의 응답 내용을 정리했다.
-테크비즈니스센터 건립, 세 지역 중 어느 지역에 건립할지 궁금하고, 400억 원 규모면 작지 않은데 예산비율은.
“연구개발특구사업은 미래부가 주도하는 사업으로 현재로서는 따로 지방비의 부담이 있다거나 하는 조건은 없다. 매년 100억 원에 가까운 국비 예산이 지급될 예정이다. 광주나 대전, 부산처럼 연구개발특구의 선례가 있기 때문에 선례에 맞춰 진행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테크 비즈니스센터 건립지역은 결정되지 않았다.”
- 강원도에서 연구개발특구 신청을 한다는 얘기도 나오고, 특구개발지정이 5번째라서 늦은 감도 있는데 앞으로의 전망은.
“미래부와 청와대와의 협의과정에서 느낀 점이 있다면, 연구개발특구 지정까지 엄청난 요건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 요건을 갖추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전북연구개발특구가 지정은 늦었지만 요건의 충족성에 있어서는 대전 대덕특구 다음으로 유리하다. 다른 지역이 (특구 지정을) 한다고 하지만, 전북도만큼 요건을 갖추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 다른 지역들이 노력할 것을 알고 있지만 1~2년 안에 다른 지역이 쉽게 요건을 갖춰 연구개발 특구로 지정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 전북의 경우도 지금까지 사업이 지연되고 애로를 겪었던 부분이 지정요건에 과연 맞추느냐 하는 것이었는데 이번에 그것이 해소됐기 때문에 여기까지 왔다고 본다.
-전주 지역의 특구면적인 15.9㎢인데 다른 특구에 비해서 작지 않은가
“이번 지정에 있어서 면적과 관련해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여건도 갖추지 않은 지역이 포함돼 사유재산에 피해만 입히는 모순이 제거돼야 한다는 얘기들이 있어서, 전북도는 그런 부분을 감안해 핵심지역만을 지정했다. 완주 특구면적이 4.5㎢인데 완주의 경우 2단계 테크노밸리 부지는 연구개발특구에 포함을 시키지 않았다. 대신 2017년에 완공이 되고 조건을 갖추면 연구개발특구에 포함을 시키는 것을 조건으로 했다.
-정읍은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요건을 갖춰 될 곳을 하는 곳이 중요했다. 정읍은 첨단 2단지 계획을 염두에 두고 실무적인 협의를 진행해왔고, 2017년 완주 2단계 테크노밸리 부지 포함시에 추가로 넣을 것을 건의할 계획이다.
정성환 기자 ilyo66@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