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시간을 그리다’의 저자 이장희 일러스트 작가,‘골목길 근대사’공저자 최석호 교수가 전기수가 되어 들려주는 이야기
종로구(구청장 김영종)는 오는 11월 20일(금)과 12월 4일(금) 명사와 함께 종로의 길을 걸으며 역사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종로의 이야기꾼, 전기수」관광체험 프로그램을 2회에 걸쳐 시범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조선시대 후기 종로에서 주로 활동하던 ‘전기수(傳奇叟)’라는 잊혀진 직업을 되살리고, 명사와 함께 ‘종로의 길’을 직접 걸으며 숨겨진 이야기를 듣고 느껴보는 관광체험 프로그램이다.
전기수란 조선시대 후기 고전소설을 직업적으로 낭독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으로 종로의 번화가(종로~동대문)를 정기적으로 옮겨 다니며 거리를 오가는 서민들에게 재미있게 책을 읽어주고 돈을 벌었던 전문적인 이야기꾼을 말한다.
지금은 사라진 직업이지만 조선 최고의 이야기꾼이며, 인기 연예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체험 프로그램은 「‘종로의 길’에서 이야기를 마주하다!」라는 주제로 2회에 걸쳐 진행된다.
먼저 11월 20일(금) 에는 첫 번째 이야기 꾼인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의 저자 이장희 일러스트 작가와 함께 ‘풍경과 함께한 서울 문묘와 성균관 스케치여행’이 진행된다.
옛 길의 느낌이 살아있는 장소인 ‘서울 문묘와 성균관’을 그림으로 담아볼 수 있는 명륜당(明倫堂), 대성전(大成殿) 등의 아름다운 학문의 길을 탐방하며 풍경사진을 찍고 골목길을 그려보는 작업을 진행해 구석구석 우리가 놓치고 살았던 종로의 길을 되살아나게 할 예정이다.
현장 답사 전에는 실내에서 작가가 직접 소묘 방법 등을 소개하는 스케치 강좌와 실습을 진행 한다.
12월 4일(금)에는 두 번째 이야기꾼인 ▲‘골목길 근대사’의 공저자인 최석호 교수와 함께 ‘나 그리고 한국인을 찾아 떠나는 세종마을 산책’이 진행된다.
종로의 근대사와 문화사가 살아있는 부암동과 세종마을 골목길로 여행을 떠나게 되며 코스는 ▲세검정 ▲백사실계곡▲라갤러리 ▲창의문 ▲윤동주문학관 ▲윤동주 시인의 언덕▲수성동 계곡 ▲박노수미술관 ▲송석원 터 ▲이상범가옥(청전화옥) ▲통인시장이다.
특히 행사 중간에 인왕산 자락에 위치한 문학 특화도서관인 청운문학도서관에서 ‘조선을 걸어서 진경시대를 열다’ 라는 주제로 저자의 강의가 진행돼 눈길을 끈다.
‘종로의 길’은 ‘이야기’와 ‘사람’으로 남아있는 인문학적 공간이며, 보는 만큼 알고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강의를 통해 실감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프로그램 참여는 주민, 종로에서 활동 중인 자 등 누구나 가능하며 종로구 홈페이지를 통해 회당 선착순 20명 접수를 받는다. 또한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약 3시간에 걸쳐 진행되며, 참가비는 무료이다.
종로구는 2016년부터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에 이번 종로의 길 스토리텔링을 통한 관광 체험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며, 매년 행사 종료 후에는 데이터베이스(data base) 구축용 전자책을 제작하여 종로의 길에 이야기를 입히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각 분야에서 활동 중인 전문가의 시선으로 종로의 길에 숨겨진 이야기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다양한 주제의 관광코스 홍보 및 상품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종로구 관광체육과로 문의하면 된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종로의 길에 담긴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함으로써 급변하는 현대에 점점 희박해지는 역사 인식을 일깨워 과거와 현재를 그리고 나를 되찾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역사·문화유산이 집중된 종로의 다양한 관광자원이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종로구는 면적(23.91㎢)로 서울시 면적(605.25㎢)의 3.95%에 불과 함에도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87개의 법정동이 있다.
이처럼 좁은 지역임에도 많은 동이 있다는 것은 그만큼 오랜 역사와 많은 이야기가 종로의 길 위에 숨겨져 있다는 것이다.
효심 깊은 두 아들의 이야기가 있는 ‘효자동’, 한 마을에 여덟 명의 판서가 살았다고 해서 붙여진 ‘팔판동’ 등이 그 예이다.
이에 종로구는 종로에 길이 형성되기 시작한 최초 시기부터 현재까지를 시점으로 하여 철저한 고증과 충분한 자료 수집을 통해 길에 담긴 역사적 가치를 발굴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2014년 9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약 1년에 걸쳐 유지되어 온 길(59개) 변형된 길(71개) 없어진 길(24개) 사라진 길(277개)을 발굴하였으며, 길을 중심으로 형성된 이야기자원을 발굴·가공하는 의미 있는 작업도 추진하였다.
김정훈 기자 ilyo11@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