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만들기’ 우리도 필요해
이명박 정부 집권 3년차가 다가오면서 정권 때마다 단행된 연초 개각에 대해 공무원들의 레이더망이 집중되고 있다. 아직까지 예산안 통과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청와대나 여당 내부에서는 잠잠하지만 집권 중반에 들어서는 만큼 개각이 있을 것이라는 것이 공무원들의 ‘본능적인 감’이다.
이러한 문제에 유독 예민한 곳이 기획재정부다. 재정부 공무원들이 벌써부터 개각에 관심을 갖는 것은 승진 대상자는 넘치는데 앉을 자리는 없는 내부사정 때문이다. 정권 실세 강만수 장관 시절 1급으로 승진시킨 사람만 20여 명에 달해, 현재 1급 고위공무원만 15명이나 된다. 이 가운데 외부로 승진, 파견나간 사람도 많다. 문제는 이들이 돌아와 앉을 자리가 없다는 것이다.
내부에 앉을 수 있는 차관은 단 두 자리인데 이 가운데 한 자리만 빌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마저 있다. 대대로 예산실장이 차관 자리를 승계해왔다는 점에서 둘 다 교체돼도 한 자리만 남는다. 한 명만 교체될 경우 아예 자리 자체가 없을 수 있다. 그렇다고 외부에 앉을 자리도 마땅치 않다. 통계청장 자리는 이미 외부 전문가에게 넘어갔고, 관세청은 내부 승진이 유력하다. 이 대통령이 부처 내부 승진을 선호하고 있어 다른 부처 차관 자리도 차지하기 쉽지 않다.
이처럼 1급 인사들이 갈 자리가 없어지면서 국장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가뜩이나 다른 부처 동기에 비해 3~4년 뒤처지는데 여차하면 1급 경쟁에서마저 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게 돌아가자 관심의 중심은 윤증현 장관이 얼마나 더 오래 자리에 앉아있을 것이냐로 옮겨가는 분위기다. 모든 면에서 강만수 경제특별보좌관과 비교되고 있는 상황에서 강 특보에 비해 직원들의 승진을 제대로 챙기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듣지 않으려 할 것이라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일각에서는 연초에 윤 장관이 경제가 안정권에 들었음을 밝히고 구원투수자리에서 물러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는 실정이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윤 장관은 별명이 ‘따거’(형님)일 정도로 직원들을 몸소 챙기는 스타일인데 인사적체가 심하고, 자신이 이 정부에 지분이 없어 이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 무작정 눌러앉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재정부 일각에서는 강만수 특보에 버금가는 실세인 윤진식 경제수석이 차기 장관으로 오는 것이 인사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준석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