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1년 반 전에 발생한 ‘세월호 사건’의 원인 중 하나가 ‘과적’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우려는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산타루치노호 출처 = 씨월드고속훼리 홈페이지 캡처
해당 여객선은 (주)씨월드고속훼리의 ‘산타루치노호’이다. ‘바다 위 호텔’이라고도 불리는 산타루치노호는 승객 1425명과 승용차 500대를 동시에 실을 수 있는 1만 5180t급 대형 크루즈 선박이다. 지난 10월 13일 취항했으며 목포-제주 항로에 대표적인 여객선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 하루에 2회(일요일은 1회) 운항을 하고 있다.
씨월드고속훼리는 지난 5월 일본의 한큐페리에서 1996년에 건조된 여객선을 인수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급격히 늘어난 화물 적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이후 광양에 한 조선소에서 수리를 해 ‘산타루치노호’로 단장했다. 즉 산타루치노호는 일본에서 들여 온 중고 여객선인 셈이다.
산타루치노호는 개조되는 과정에서 승선 정원 및 차량 대수가 급격하게 늘어났다. <일요신문>이 분석한 선박 제원에 따르면 일본에서 운항할 당시 산타루치노호의 최대 승선 정원은 810명, 차량은 296대였다. 하지만 개조 이후 한국에서 운항하는 산타루치노호는 최대 승선 정원 1425명, 차량 500대로 무려 2배 가까이 뻥튀기 됐다. 단순 수치로 따지면 승선 인원은 ‘615명’, 차량 대수는 ‘204대’를 더 실을 수 있게 바뀐 것이다.
산타루치노호가 일본에서 운항할 당시 선박 제원. 승선 인원 810명, 차량 296대로 적혀 있다. 출처 = 일본 한큐페리
현재 산타루치노호 선박 제원 출처 = 씨월드고속훼리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각에서는 안전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산타루치노호의 승선 정원이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산타루치노호를 여러 번 이용했다는 한 네티즌은 “정원이 늘어난 만큼 비상상황 발생 시 인원 대피가 순정상태일 때 보다 원활하지 않는다는 건 직접 실험해 보지 않아도 뻔할 것으로 보인다”며 “세월호 사건이 터져도 아직 배운 게 없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산타루치노호의 안정성을 검사했다는 한국선급 측은 “여러 검사 결과 안정성에 전혀 문제가 없다”라고 해명했다. 한국선급 관계자는 “지난 4월 경 산타루치노호에 대한 안정성 검사를 진행했다. 복원력, 비상상황 발생 등 여러 검사 결과 아무 문제가 없었다. 승선 정원 검토는 배 내부 도면을 분석해 기준에 따라 책정한다”라고 전했다.
승선 차량 대수와 관련해서도 한국선급 측은 “차량적재 수 관련 승인된 도면 상 최대 적재수는 275대(승용차 184대, 트럭 91대)에 해당하며 컨테이너 일반화물의 수까지 합하면 336대이다. 선사 측에서 500대로 제원을 공개했는데 우리와 전혀 관련이 없고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라고 밝혔다.
산타루치노호를 운항하는 씨월드고속훼리 측 역시 “일본에서 운항할 때는 장거리 운항이기에 숙식 문제로 승선 인원이 적게 책정된 부분이 있다. 목포-제주 운항은 그 정도 장거리는 아니기 때문에 승선 인원이 늘어나게 된 것”이라며 “비상 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법적 기준에 따라 비상장치를 늘렸다. 검사도 통과된 터라 전혀 문제가 없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중고 선박 개조 후 승선 정원이 급격히 늘어난 것과 관련해 더욱 충분한 안정성 검사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한 선박 전문가는 “대형 선박이기 때문에 사람이 많이 늘어난다고 해서 그 무게는 안정성에 큰 영향을 주진 않는다”라고 전제하면서도 “세월호 이후 대형 선박에 대한 안정성 우려가 커졌고 일반 승객들이 불안을 느낀다는 점에서 정부가 직접 나서서 제대로 된 검사와 인증을 해야하고 이를 공개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세월호 사건 이후 선박안전법 일부가 개정돼, 선박의 승선 정원이 증가될 경우 해양수산부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개정된 법이 지난 7월 15일부터 적용돼, 그 이전에 개조한 산타루치노호는 법 적용을 받지 않았다. 한국선급 관계자는 “그렇지 않아도 정원이 대폭 늘어났기에 정부 측에 개정된 법을 적용해야 하는지 여부를 문의했다. 하지만 법 개정 이전이기에 심의 대상이 아니라는 답변을 받았다. 이에 한국선급에서 산타루치노호의 안정성 검사를 했다”라고 전했다.
박정환 기자 kulkin85@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