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세이상관람가 신설-등급표시 간소화 대한 각계 의견 수렴
영상물등급위원회 주최로 31일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열린 <전체관람가 세분화 및 등급 표시제도 개선> 공청회에서 패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강인식 KT 미디어사업본부 상무, 김기영 (사)한국영화인총연합회 사무총장, 김석범 수원대 영화영상학 교수, 영화평론가 윤성은, 배장수 한국영화제작가협회 이사, 서문하 미디어열린사람들 대표, 유홍식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황창근 홍익대 법학과 교수.
[부산=일요신문] 박영천 기자 = 디지털 시대, 실질적인 아동 및 청소년 보호를 위해서는 전체관람가를 세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영상물등급위원회(이하 영등위, 이경숙 위원장)는 지난 10월 31일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전체관람가 세분화 및 등급 표시제도 개선’ 공청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영등위 이경숙 위원장은 공청회에 앞서 “똑같은 장면이라도 연령에 따라 미치는 유해성이 다르기 때문에 연령등급 세분화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관련 논의를 꾸준히 진전시켜왔다”며 “앞으로도 등급분류 서비스가 영상물의 현명한 선택을 위한 가이드라인이자 아동 및 청소년을 부적절한 영상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에 더욱 충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주제발표를 맡은 권헌영 고려대 교수는 “영화관, DVD 뿐 아니라 태블릿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영상물을 접할 수 있게 되어 아동 및 청소년이 유해 영상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연령별 등급 및 등급 표시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권 교수는 “국내 영상물 등급분류 체계는 어린이 성장발달 단계 등을 고려하기보다 학제 중심으로 구성돼 전체관람가의 연령범위가 0세부터 만 11세까지로 광범위한 편”이라며 “장 삐아제의 인지발달론에 따르면 7세 이상이 되어야 허구와 실제를 구분하고 논리적 사고를 시작한다. 이런 발달단계를 고려해 독일과 네덜란드 등 미디어 선진국처럼 ‘7세이상관람가’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권 교수는 등급분류 표시제도에 대해 “선정성-폭력성이 과도하게 포함된 영상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고, 소비자가 정확한 정보를 갖고 영화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현재 인터넷 홈페이지와 영화관 등의 등급표시가 조금씩 달라 명확한 내용을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데, 일관성 있는 디자인과 핵심정보만을 간략히 담아 알아보기 쉽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영화산업계, 학계, 법률, 청소년 등 각계 전문가들은 영화 등급분류가 관객, 특히 학부모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도라는 점에 공감했다.
이들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이 변화한 만큼 영화 등급분류 운영 취지를 살리기 위해 전체관람가를 세분화하고, 등급 표시를 직관적으로 바꿔 한 눈에 들어오게 할 필요성이 있다는데 동의했다.
다만 이들은 구체적인 방법론에 있어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도적으로 더욱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이날 공청회에는 영화평론가 윤성은의 사회로, 강인식 KT 미디어사업본부 상무, 김기영 (사)한국영화인총연합회 사무총장, 김석범 수원대 영화영상학 교수, 배장수 한국영화제작가협회 이사, 서문하 미디어열린사람들 대표, 유홍식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황창근 홍익대 법학과 교수 등이 참여했다.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