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2만 톤 이상 발생하지만 절반밖에 처리 못해…해양 운반비 비싸 수거하고도 해안가 방치 많아
지난 11일 제주시 추자도 인근 해상에서 김 양식장에 사용되는 스티로폼 등 100여 t 해양쓰레기가 유입된 가운데 행정당국이 수거작업을 벌이고 있다. / 사진=제주시청
[일요신문] 제주의 청정해역이 넘쳐나는 해양쓰레기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다.
제주지역에서는 매년 2만 t 이상의 해양쓰레기가 바다로 밀려들고 있지만 절반 정도밖에 처리를 못하면서 해양 오염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또 제주로 밀려오는 해양쓰레기들이 해안에 잔뜩 쌓이면서 청정 제주 이미지를 흐리고 있다.
해양쓰레기들은 폐스티로폼과 어선에서 투기되는 폐그물, 생활쓰레기 등 종류도 다양하다. 해안 곳곳에는 그물과 부이, 대형 스티로폼, 목재 깔판 등 건축폐기물도 흉물스럽게 뒤엉켜 방치돼 있다.
지난 17일 제주시 추자도 인근 해상에 김 양식장에서 흘러온 것으로 추정되는 해양쓰레기가 발견된 데 이어 제주 해상에서도 같은 종류의 해양쓰레기가 발견돼 해경과 주민들이 긴급 수거에 나서기도 했다.
제주해양경찰서는 17일 제주시 용담 포구 북동쪽 약 200m 해상에서 양식쓰레기를 수거해 지방자치단체에 인계했다고 밝혔다.
해경이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김 양식에 사용되는 스티로폼 부표와 그물, 밧줄 등이 엉킨 것으로 90㎏ 정도다.
앞서 지난 11일 제주시 추자면 추자도 인근 해상에는 김 양식장에 사용되는 스티로폼 부표와 막대기, 그물, 밧줄 등 100t에 육박하는 해양쓰레기가 유입됐다.
추자면은 막대한 양의 쓰레기를 치우기 위해 주민들과 바다청정지킴이 등 300여 명을 동원해 분리수거 작업을 벌였다.
제주도는 해당 쓰레기들이 진도나 완도 등 남해안 부근에서 떠내려 온 것으로 보고 해당 지자체에 처리비용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해양경찰서 소속 경찰관이 양식장 시설과 같은 종류로 추정되는 해양쓰레기 수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제주해양경찰서
해양쓰레기는 매년 2만t 이상 발생되고 있지만, 수거량은 2015년 1만 4475t, 2016년 1만 800t, 2017년 1만 4062t, 2018년 1만 2412t으로 절반 정도밖에 처리를 못하고 있다. 이는 막대한 처리비용 때문으로 풀이된다.
해양쓰레기는 선박을 이용한 운반비 부담 때문에 일반 쓰레기보다 처리비용이 두 배 이상 비싸다. 이 때문에 수거를 해 놓고도 해안가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해양 오염은 물론 주민의 삶의 질 저하와 어업의 경제적 손실, 관광자원, 경관 훼손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동안 폐기물수거업체 등을 통해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있지만 모든 해안에 걸쳐 산발적으로 다량 발생하는 한편 인력도 부족해 제때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쓰레기 수거에 투입되는 예산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 2015년 25억 9900만 원에서 2016년 35억 700만 원, 2017년 61억 100만 원, 2018년 64억 원 등 매년 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해안변 해양쓰레기의 완벽한 처리를 위해 상시 모니터링과 수거, 중간 집하, 재활용 선별 등 발생부터 처리까지 원스톱 수거 처리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김창선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선진국형 해양쓰레기 관리시스템으로 제주의 핵심가치인 청정과 공존에 걸맞은 해안변 관리의 국가 모델이 될 것”이라며 “지금까지 수거 처리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해안변 해양쓰레기는 물론 일시에 대량 발생하는 괭생이모자반과 해안변 파래 등 유해성 해조류도 원활하게 처리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제주도는 또 전국 최초로 해양쓰레기 수거를 전담할 ‘청정제주 바다지킴이’를 지난 2월 최종 선정하고 제주시에 87명, 서귀포시에 65명을 상시 배치해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방침이다.
하지만 제주도가 해양쓰레기에 대한 근본적 처리 대책없이 지킴이 등 인력 배치에만 나서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바다지킴이 대부분이 6개월 단위 계약인 데다 상당수가 고령자여서 무거운 수거분리 작업시 난항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바다지킴이를 전문화하는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환경전문가들은 “제주도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재활용률을 높이고 폐기물 에너지화를 통한 ‘매립 제로’ 달성이 필요할 것”이라며 “바다 쓰레기 불법투기 모니터링 등 올바른 소비문화 조성을 위한 교육 홍보 등 시민사회 영역의 대응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현성식 기자 ilyo99@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