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에 운명 건다… 신년벽두 광폭행보
# 안철수 vs 문재인
차기 대선주자를 노리는 안철수 의원(왼쪽)과 문재인 의원의 첫 번째 시험대는 6월 지방선거가 될 예정이다. 6월 14일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 13주년 기념식에 나란히 참석한 모습. 박은숙 기자 espark@ilyo.co.k
문재인 의원도 안 의원 못지않은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문 의원은 자서전을 통한 대권 재도전 의사를 시사하며 정치 행보를 이어가고 있어 사실상 그가 세를 결집해 차기 대권을 준비하기 시작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 1주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행보에 들어간 두 사람은 기존 정치권에 대한 강도 높은 발언으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2012년을 뜨겁게 달궜던 두 대선후보급 인물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자 당내 분열과 특위·특검 등의 당론에 발목이 묶인 김한길 대표는 존재감이 사라졌다는 해석이 나오며 3자 구도의 균형이 문-안에게로 쏠리는 모습이다.
차기 대선주자를 노리는 문 의원과 안 의원의 첫 번째 시험대는 바로 올 6월 지방선거가 될 예정이다. 특히 안 후보는 아직 신당창당 전임에도 최근 여론조사에서 민주당을 월등히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BS가 지난 1일 보도한 ‘지방선거 지지 정당 지지율’에서 새누리당 40.6%, 안철수 신당 30.3%, 민주당 12.7%로 나타나는 등 새해 각종 여론조사에서 안철수 신당의 지지율이 민주당을 압도했다.
두 사람의 대결에서 정치 전문가들은 안 의원의 ‘인재 영입’이 최대 변수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대진 조원씨앤아이 대표는 “안 의원은 ‘새정치’라는 어젠다를 가지고 왔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문재인과 동급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문 의원의 경우 기본 친노세력이 있기 때문에 내림차순으로 지역 선거 후보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안 의원은 그만한 인재풀이 없는 상황이고 안 의원의 경우 이번 지역선거에서 패배하면 치명타를 입게 되기 때문에 깊이 관여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고 설명했다.
문 의원에게도 변수는 있다. 야권의 유력 대선 주자로 손꼽히고 있지만 민주당과 엇박자를 내며 독자적인 정치세력화를 만들고 있는 데다 지난 대선 주자로 패배한 상황에서 너무 빠른 행보를 보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한 정치컨설턴트는 “문 의원은 행보가 빠르다. 친노세력이 자연스럽게 지방선거에서 자기 역할을 하고 총선에서 세력을 더 확장을 하면서 문 의원이 부각되는 것이 맞다고 보는데, 안 의원의 신당 창당 때문에 그러는지 몰라도 조급해 보이는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 김한길
올해 지방선거가 김한길 민주당 대표 체제의 ‘심판대’가 될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박은숙 기자
지도부의 자제 부탁에도 장하나 민주당 의원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대선불복’을 선언하면서 새누리당 측에서 제명안을 제출하는 등 갈등을 빚었다. 이에 한 최고위원은 “장하나 의원의 행동이 잘못 됐다기보다도 지도부 입장에서는 특위·특검 문제를 새누리당과 합의해야하는 상황에서 곤란한 처지”라고 전했다.
민주당 내에서는 리더십 부재의 연장선상으로 꾸준히 계파 싸움 문제가 지적돼 오기도 했다. 한명숙 의원의 공천권으로 배지를 단 강경파 의원들과 비주류인 온건파 의원들 간 갈등이 당내 분열의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게다가 최근 각종 여론 조사에서 아직 창당도 하지 않은 안철수 신당에게 크게 뒤처지고 있는 것도 김 대표는 물론 민주당 전체의 위기로 작용하고 있다. 민주당에서 20년간 당직자 생활을 한 정치 관계자는 “민주당이 이렇게 여론조사가 한 자리수가 나왔던 적은 없다. 통합진보당과 정의당도 한자리수인데 심각한 수준 아닌가”라며 고개를 저었다.
김한길 대표 체제 임기가 2015년까지지만 벌써 민주당 내부에서는 조기 전당대회론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경기지사 출마를 준비 중인 김진표 의원은 지난해 12월 18일 기자간담회에서 “야권 전체의 판을 키우기 위한 경우라면 (내년 초) 조기 전당대회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조기 전당대회는 현실성이 부족하고 올해 지방선거가 김 대표 체제의 ‘심판대’가 되지 않겠느냐는 해석이 많다. 앞서의 정치컨설턴트는 “지방선거에서 지게 되면 현재 지도부는 당연히 책임을 지고 물러나게 된다. 지역선거 결과에 따라 지도부 사퇴보다 야권 단일화 등 재편이 어떻게 이뤄질지가 오히려 더 야당의 관심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다영 기자 lata1337@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