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지원 확대 및 선도 기업 선정 기준 완화 요구 목소리 높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산지역 선도 기업 지원시책에 대한 몇몇 개선 과제가 확인됐다.
우선 조사기업의 선도 기업 선정 후 경제적 효과를 물은 결과, ‘자금조달 용이’ 19.9%, ‘신인도 제고’ 18.1%, ‘기술개발의 사업화 용이’ 9.8%, ‘인력수급 원활’ 6.9%, ‘매출증가’ 4.3% 등으로 비교적 다양한 효과를 기업들이 실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적 효과가 없거나 미미’하다고 응답한 기업이 38.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해 여전히 지원시책에 전반에 대한 개선과제가 있음을 확인시켰다.
특히 지역의 선도 기업들은 산업과 기업의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시책이 부족한 것을 가장 큰 개선과제로 꼽았다.
실제 조사 응답기업의 과반이 넘는 58.4%가 ‘산업별·기업별 맞춤형 지원시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사 응답기업 중 해양산업, 융합부품소재산업의 경우는 제품 국산화율 제고를 위한 기술 개발 지원과 인증획득 비용 및 검사비용 지원을 요구했다.
창조문화산업은 콘텐츠․디자인 개발 전문 인력 알선 지원을, 바이오헬스산업은 신제품 개발에 소요되는 개발자금 지원 등을 요구해 산업별 요구사항이 다양했다.
그 외 개선과제로는 ‘선도 기업 지원 절차 및 제출서류 간소화’(22.4%), ‘기관별로 산재한 지원시책 통합 관리’(10.9%), ‘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시책’(5.9%) 등이 거론됐다.
선도 기업 선정 후 가장 많이 이용한 지원시책은 ‘자금지원’이었다. 조사응답 업체의 43.6%가 ‘자금지원’을 이용한 것으로 답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각종 지원 사업 참여시 선도 기업에 대한 가산점 활용’ 24.5%, ‘기술개발 지원’ 16.6%, ‘마케팅 지원’ 12.9% 등이었다.
선도 기업 선정 기준에 대해서는 현행 제조업의 경우 매출액 200억 원, 서비스업은 20억 원으로 되어 있는 것에 대한 매출액 하향 요구가 전체 응답기업의 34.8%로 가장 많았다.
당초 3년에서 5년으로 강화된 업력 기준 역시 사업초기 다양한 자금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기업도 27.5%에 달했다.
또 ‘5대 전략산업’으로 국한된 업종제한 역시 5대 전략산업에 포함되지 못한 유망 중소기업이 지원 대상에서 소외된다는 데 대해 21.0%의 업체가 이를 지적했다.
한편, 지역 선도 기업들이 가장 큰 애로를 겪고 있는 경영분야는 ‘자금조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응답 선도기업의 32.5%가 이를 지적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하용성 기자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