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컨테이너터미널 출범 10년만에 ‘존폐 기로’
▲군산항 컨테이너 전용부두를 운영하는 도민출자회사인 군산컨테이너터미널(이하 GCT)이 경영난 등으로 출범 10년만에 존폐 기로에 서 있다. 이에 따라 GCT에 도민과 시민의 세금을 출자한 전북도와 군산시가 컨테이너부두의 지속 운영을 위해 대책을 강구하든지 아니면 차제에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사진=군산 컨테이너터미널 전경>
[일요신문] 군산항 컨테이너 전용부두를 운영하는 도민출자회사인 군산컨테이너터미널(이하 GCT)이 경영난 등으로 출범 10년만에 존폐 기로에 서 있다.
이에 따라 GCT에 도민과 시민의 세금을 출자한 전북도와 군산시가 컨테이너부두의 지속 운영을 위해 대책을 강구하든지 아니면 차제에 파산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5일 전북도와 군산시에 따르면 GCT는 2천TEU급 컨테이너선 2척을 동시 접안할 수 있는 부두와 컨테이너 크레인 2기, X-ray 검색기 등의 인프라를 갖춘 컨테이너전용터미널로 현재 GCT를 기점으로 상해, 대련, 일본 등 3개 국제정기항로에 컨테이너선을 운항하고 있다.
GCT는 설립당시부터 컨테이너물동량 수급의 한계를 안고 출범했으나 컨테이너부두의 운영은 국제무역항으로서 군산항의 위상제고는 물론 지역경제활성화에 크게 기여해 왔다.
또한 전북도와 군산시도 관련조례를 제정, 화주와 포워더및 운항선사의 지원에 나섬으로써 군산항~평택~상해, 군산~평택, 군산~청도~연운항과 군산~연운~부산항등 항로가 잇달아 개설, 운항됨으로써 컨테이너부두는 활성화의 전기를 맞았다.
출범 이듬해인 지난 2005년 1만8149TEU에 불과했던 GCT의 컨테이너 취급량은 2011년 9만3621TEU까지 올라섰다.
그러나 2012년부터 컨테이너 화물이 급감하며 출범한 지 10년밖에 지나지 않아 GCT는 존폐 위기를 맞고 있다.
글로벌경제의 침체와 함께 수출자동차 등 물동량이 급감하면서 2013년엔 1만 1,700TEU까지 주저앉으며 추락하는 등 GCT는 2011년 한 해만 제외하고는 만년 적자에 시달려 왔다.
적자운항을 이유로 천경해운과 한진, 중국해운 등 컨테이너선사들의 잇단 항로운항중단에 따라 출범이후 지난 10년 동안 GCT의 경영은 지난 2011년 한해만 흑자를 기록한 후 계속 적자상태에서 머물렀다.
특히 주주사로서 국내에서 상호 경쟁회사인 CJ대한통운과 세방, 선광이 비슷한 지분을 가지고 GCT의 운영에 관여해 온 점도 GCT 활성화의 걸림돌이 됐다.
이에따라 현재 GCT는 최근 3년간 평균 15억 원 이상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누적적자가 자본금 93억 원을 넘어서면서 자본잠식 상태다.
문제는 경영악화로 부두임대료까지 못 낼 지경에 이르렀는데도 주주들 가운데 어느 누구하나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질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최근 3년간 평균 매출액이 20억 원에도 못 미치는데도 GCT 상근직원은 18명이나 돼 고정비용 지출은 해마다 눈덩이처럼 늘어나고 있는데도 경영악화 개선을 위한 자구노력은 보이질 않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당초 설립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기는커녕 막대한 손실을 초래해 파산위기에 처한 GCT를 아예 폐쇄를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고 있다.
양용호(군산2) 전북도의원은 5일 열린 제319회 도정질의에서 “GCT의 정상운영을 위해선 구조조정과 함께 자본금 증액이나 차입금을 통한 재정확충이 불가피하다”며 “전북도 입장에선 GCT 최대주주인 민간하역사 3사의 책임 있는 모습이 없을 경우 파산까지도 고려해야 할 시점에 왔다”고 지적했다.
반면에 항만 관계자들은 “전북도와 군산시가 적극 나서 컨테이너부두의 운영과 관련된 문제점을 정밀 진단하고 대책을 강구, 국제무역항으로서의 군산항은 물론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컨테이너부두의 운영은 지속되도록 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난 2004년 7월 전북도와 군산시가 3개의 민간 하역사와 공동으로 설립한 군산항 컨테이너부두의 운영사이다.
출범 당시 70억원이었던 자본금은 한때 유상증자를 통해 84억원으로 늘어났으며 주주사들의 출자비율은 CJ대한통운이 26.94%, 세방과 선광이 각 26.53%이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자본금의 10%를 각각 출자했다.
정성환 기자 ilyo66@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