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신문] 전북 전주의 항공대대 이전 후보지로 덕진구 도도동으로 사실상 확정되면서 사업 추진이 어떻게 흘러갈지 관심이 쏠린다.
국방부가 최근 전주 도도동(행정동: 조촌동)을 적지로 결정해 통보해 옴에 따라 이전지를 둘러싼 주민 반발로 10년 가까이 표류해왔던 항공대대 이전을 강력하게 밀어붙일 준비가 완료된 셈이다.
전주시는 내친김에 4월에는 국방부와 합의각서를 체결하는 등 내년 3월안에 공사 착공을 목표로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항공대 이전사업 10년 표류 내막
애초 헬기 전용부대인 항공대대 이전은 2006년 전주시가 35사단을 임실로 동반 이전시킨 뒤 사단 부지를 개발하는 내용으로 세운 에코타운사업 계획에 포함됐었다.
항공대대의 사용 면적은 31만여㎡에 이른다. 시는 애초 국방부와 협의를 통해 항공대대를 35사단이 이전한 임실 지역으로 옮길 계획이었다.
그러나 소음 피해나 각종 안전사고 등을 우려한 임실군과 주민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이전 문제가 거론된지 자그마치 10년째 장기표류 해왔다. “우리 지역만은 절대 불가하다”는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워낙 거센 탓이다.
반대 이유는 주민과의 사전 협의 없음, 소음피해, 땅값 하락, 개발 제한, 농·축산 피해 등이다. 여기에 이전 후보지역으로 거론되는 주민은 물론 행정과 정치인들까지 들고 나서고 있으니 일이 꼬일대로 꼬였다.
이에 전주시가 다른 카드를 꺼내들었다. 전주 북부권 개발을 더는 미룰 수 없는 만큼 이전지역을 임실로 한정하지 않고 대체지역을 찾겠다는 것이다. 급기야 국방부에 계룡대가 있는 충남지역 이전까지 검토를 요구했다.
그러나 결과는 뻔했다. 결국 전주시는 결국 제2, 제3의 후보지를 물색해왔다. 하지만 시는 항공대대 이전을 희망하는 지자체가 나타나지 않자 고육지책으로 관내인 덕진구 도도동으로 이전을 검토했다.
이후 시는 국방부에 이 지역에 대한 헬기 이·착륙 문제가 없는지를 비롯한 작전성 검토를 요청했고 마침내 국방부가 최근 이 지역이 이전부지로 적합하다는 통보를 해왔다.
전주 도도동은 지난 2011년 한국국방연구원의 최적 후보지 선정용역에서 임실 6탄약창, 완주 하리와 함께 후보지로 뽑혔던 곳이기도 하다.
백순기 시 생태도시국장은 “전주 도도동이 전주항공대대 이전부지로 결정, 통보된 만큼 본격적인 이전 추진을 위한 각종 행정절차를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
◇‘산넘어 산’...전주시 행정력 시험대 올라
하지만 이전 예정지인 도도동 주민과 인근의 김제 백구면, 완주 이서면 주민의 거센 반발에 직면, 사업 추진에 진통이 예상돼 지역사회 갈등 해결이라는 쉽지 않은 과제를 남겨놓게 됐다.
앞서 지난 3일에는 김제시 백구면 주민들이 다시 일어섰다. 백구면 비상대책위는 이날 김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백구면민을 무시하는 항공대대의 도도동 이전을 결사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책위는 “도도동 들판은 1995년 시·군행정지역 개편으로 김제시가 전주시에 넘겨준 지역으로 백구지역과는 직선으로 700m 거리에 있다”며 “행정구역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주민들의 동의를 구하는 등의 기본적인 절차도 없이 항공대대의 이전을 비밀리에 추진하고 있는 것은 김제 시민과 백구 면민을 무시하고 우롱하는 처사”라고 비난했다.
이들은 “백구면 인근에 항공대대 이전을 강행할 경우 이후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전주시장이 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에코시티 조성사업 등 북부권 개발을 위해 더 이상 미룰 수 없고, 같은 행정구역 내에서의 부대 이전인 만큼 인근 자치단체와의 협의가 의무사항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또 항공대대와 육군 35사단은 별개의 부대이며, 현재 항공대대가 위치한 송천동에서 소음 피해에 대한 주민 민원이 전혀 없었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전주시는 또 미군 캠프에서 지난 1987년 부대를 이전한 춘천 항공대대를 비교 사례로 들고 있다. 춘천의 경우 읍소재지에 항공대대가 위치해 있고 반경 1km 이내에 마을은 물론, 학교도 3곳이나 있지만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다.
전주시는 불과 몇 년 전 35사단 이전 문제로 거의 탈진 상태에 빠진 끝에 가까스로 임실로의 이전을 마무리 진 적이 있다. 이제는 항공대대가 똑같은 전철을 밟고 있다. 전주시가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어떻게 잠재울 것인가라는 시험대에 올랐다.
정성환 기자 ilyo66@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