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에 든 ‘카드’ 쉽게 못꺼내는 이유가…
청와대 정무수석 공백이 길어지면서 정치권 안팎에서는 메르스 사태 진정 이후를 걱정하고 있다. ‘대결’이란 이야기까지 나오는 국회법 개정안을 두고 청와대와 당의 긴밀한 소통을 위해서는 정무수석 자리를 공석으로 방치해선 안 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신동철 비서관
청와대에서 정무수석 내정자로 신 비서관의 이름이 꾸준하게 오르내리고 있지만 좀처럼 청와대 공식 발표를 볼 수가 없다. 이를 두고 여권 내 친박 실세들 간의 권력갈등설도 흘러나오고 있다. 친박 실세로 꼽히는 A 의원이 전직 의원인 B를 정무수석으로 밀어보려 했으나 또 다른 친박실세 C와 그 휘하의 참모들이 강하게 반대하는 바람에 그 뜻이 관철되지 못했다는 얘기도 흘러나왔다. 정무수석실 수장의 자리가 오랜 기간 비게 되면서 정무수석실 내부에서도 인사문제로 파열음이 생겼다는 설이 나도는 등 청와대 분위기가 뒤숭숭하다. 이에 대해 신동철 비서관은 <일요신문>과의 통화에서 내부승진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밑에 사람이 함부로 이야기할 수 없다”며 최대한 말을 아꼈다.
박근혜 선거 캠프에서도 일했던 여권의 한 관계자는 지금 시점에서 최선의 선택으로 신동철 비서관을 꼽았다. 이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 임기의 반환점을 돌아서는 마당에 이번 정무수석은 20대 총선 때도 있을 사람이고 청와대는 철저하게 VIP 하나만을 위한 정치 조직이다. 여야와 당정청을 아울러야 할 정무수석의 인선 시점이 총선이 1년도 남지 않았다”며 “더군다나 주위에서는 혁신하라는 목소리 높은데 혁신의 가장 쉬운 방법은 젊은 피 수혈이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신동철 비서관이 최선이다”라는 의견을 냈다.
김무성 대표
김 대표 측의 강한 부인에도 불구하고 여권 내 권력의 큰 축인 그가 어떤 식으로든지 정무수석 인선에 대한 ‘의견’ 정도는 내지 않았겠느냐는 해석이 있다. 참여정부에서 정책실장을 지낸 김병준 국민대 교수는 이에 대해 “당은 ‘청와대 인선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지만’이라고 하겠지만 그것은 원칙론적인 얘기이고, 자기들하고 관계가 되어 있는 것은 이러한 사람을 임명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며 “(당 쪽에서) 먼저 감히 후보자를 지목하지는 못하겠지만 특히 정무수석 같은 경우에는 ‘당에 있는 사람을 좀 써 달라’ 그런 부탁을 하기도 한다. 물론 대통령의 선택권을 존중하는 선에서 아주 조심스럽게 한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 측의 강한 부인에도 이런 논란이 나오는 것 자체만으로 불과 지난해까지만 해도 상상할 수 없었던 당청 간 힘의 균형추가 사실상 평행수준으로 올라 왔다는 방증이 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가 청문회도 필요 없는 정무수석 인선을 이렇게 늦추는 것 자체가 당의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다.
김태현 기자 toyo@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