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와 함께 유해·위험정보 상호 공유 등 ‘3-3-3 안전수칙’ 제시
지난 4월의 경우, 경기도 이천의 반도체설비 공사현장을 점검 중이던 근로자가 설비 내 질소가스 유입으로 질식돼 3명이 사망했으며, 1월 경기도 파주에서는 질소가스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로 정비작업을 하던 3명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었다.
지난해 12월 울산 울주군 건설공사 현장에서는 현장시설 내 밸브손상에 의한 질소가스 누출로 점검하러 들어간 3명의 근로자가 숨지기도 했다.
밀폐공간 질식재해는 사망률이 높은 재해로, 최근 5년간 174명의 재해자 중 절반인 87명이 사망한 바 있다.
이처럼 밀폐공간 질식재해가 사망률이 높은 이유는 정상 공기의 산소농도가 21%정도인 것과 비교할 때 산소농도가 18% 미만으로 내려갈 경우 어지럼증 등이 발생해 사고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6%이하에서는 순간적으로 의식을 잃고 5분 이내 사망에 이르기 때문이다.
최근 발생한 질식사고는 환기가 불충분하거나 유해가스 발생가능성이 높은 밀폐공간에서 작업하면서 근로자에게 질식위험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거나 원‧하청간 위험정보 공유 부재, 작업절차 및 안전수칙 미준수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밀폐공간 질식사고가 연중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질식사고시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에 따라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3-3-3 안전수칙’을 제시하고,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지도에 나설 방침이다.
‘3-3-3 안전수칙’은 ▲원청, 협력업체, 작업근로자 등 3자간 유해·위험정보 상호 공유 ▲사업장내 밀폐공간 조사‧확인, 해당 공간 출입금지 표시, 충분한 안전조치 확인된 경우에만 밀폐공간 작업 허가 등 3대 사전예방조치 ▲밀폐공간 작업시 산소농도 등 측정, 환기, 보호구 착용 등을 준수하는 것이다.
공단 관계자는 “밀폐공간은 질식 위험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작업 전 안전점검이 잘 지켜지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며, “사전에 질식 위험정보를 파악해 공유하고, 예방관리 및 안전수칙 준수 등을 통해 질식재해예방에 함께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강성태 기자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