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경영평가 낙제점 받고 비상체제 돌입
부산항은 지난해 컨테이너 1,947만개를 처리하여 전년대비 4.2% 증가하는 성과를 냈다. 특히 환적화물은 부산항 개항 이래 처음으로 1000만개 이상을 돌파, 전체 처리화물의 52%를 차지했다. 그러나 올해 5월말 누계기준을 보면 홍콩항 10.9%, 싱가포르항 6.0%, 상하이항 1.1% 등 세계 주요항만들의 물동량이 감소하고 있다. 부산항도 예외는 아니어서 5월말 누계 802만개를 처리하여 전년 동기(816만개) 대비 1.8% 감소하였다. 이런 추세라면 부산항은 당초 의욕적으로 설정한 2016년 목표치 컨테이너 2천만개 달성은 어려워 보인다.
이런 가운데 BPA는 정부의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낙제점인 D를 받아 충격에 휩싸였다. 낙제점을 받은 주요원인은 BPA의 본연의 임무인 컨테이너부두 관리 및 화물 유치,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및 부가가치창출 유도, 항만관련산업 육성 보다는 크루즈 승객유치 등의 평가배점이 높은 이유다. 지난해 메르스 사태로 부산항 입항 크루즈 및 관광객이 급감해 배점 12점 중 5.626점을 받은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주어 경영평가 D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BPA는 이런 상황을 부산항과 조직의 위기로 보고 조직개편을 단행하게 댔다. 먼저 그 동안 부산항을 찾아오는 선사와 항만시설을 관리해 온 수동적인 역할에서 탈피한다. 국제해운물류흐름을 현장중심으로 조사 분석하고, 세계 곳곳을 찾아다니며 새로운 시장과 물동량 개척, 부산항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정책개발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특히, 컨테이너 유통에 대한 보다 세밀한 분석을 통하여 유치와 지원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운영본부에 혼재되어 있던 컨테이너 유통과 관련한 정책기능을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국제물류사업단으로 통합하고 컨테이너물동량TF팀을 신설한다.
또한, 신항 항만배후단지는 규모나 시설수준에서 부산항의 자랑이지만 당초 취지인 부가가치창출기능 보다는 창고기능에 치중해 있는 점과 동 업무가 여러 부서로 분산되어 있는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배후부지업무를 국제물류사업단으로 통합하여 효율화시켰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크루즈선과 크루즈관광객 입항을 반영하여 크루즈산업과 연안관광산업, 선용품산업 등 항만관련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육성하기 위하여 운영본부 내에 항만산업지원부를 신설하였다
부산항만공사가 정부로부터 부여받은 주어진 관리기능을 넘어 스스로 항만당국으로서 정책기능을 강화와 세계적인 해운항만물류시각에서 대처해 나가고 있다는데 점에서 이전의 조직개편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글로벌 해운선사들이 부산항의 비효율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지목해 운영방식도 개선한다. 즉, 하나의 컨테이너부두를 쪼개 여러 터미널 운영사에 맡기는 운영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운영사 통합과 터미널 간 환적화물 이동전용도로 개설(ITT), 신항 공컨테이너 장치장 운영 등도 하반기에는 탄력이 붙어 부산항 경쟁력이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