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철에는 난방시설을 늘 켜놓고 일하기 때문에 실내 공기가 건조해진다. 특히 컴퓨터 모니터 앞에서 일하는 내근자들은 안구건조증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 눈의 피로를 자주 풀어주어야 한다. | ||
눈의 표면을 적셔주는 액막의 성분은 눈물이다. 자꾸 말라버리면 눈물이 부족해져 눈이 뻑뻑하고 시린 느낌 때문에 여간 불편해지는 것이 아니다. 붉게 충혈되거나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이물감이 느껴지고 눈곱도 자주 낀다.
눈물은 까만 눈동자를 덮고 있는 각막과 그 옆의 하얀 결막을 촉촉하게 해주는 것은 대기로부터 들어오는 병균을 죽이는 살균작용까지 한다. 특히 혈관이 없는 각막은 평소 눈물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눈물이 모자라 눈이 까칠까칠해지면 각막과 결막이 망가지기도 쉽다. 안구건조를 막는 생활습관, 주의점을 알아본다.
이럴땐 의심해야--------------------------------------------------------------------
·눈에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이물감이 느껴지고 뻑뻑하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눈이 충혈되고 뻑뻑하다.
·눈 앞에 막이 낀 것처럼 뿌옇게 보인다.
·눈이 피곤하면 눈곱이 잘 낀다.
·눈이 아파서 책을 오래 못 본다.
·바람을 쐬거나 담배연기를 쐬면 눈물이 더 쏟아진다.
·건조한 곳이나 오염이 심한 곳에서 눈이 화끈거린다.
·이유없이 눈이 쉽게 충혈된다.
·햇빛이나 형광등 아래서 눈을 뜨기가 어렵다.
·전보다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기 어렵다.
·최근에 눈에 통증이 있고 시력이 떨어진 것 같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씨가 추워지면 아무래도 따뜻한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기 마련이다. 난방과 함께 보온을 위해 환기마저 차단된 실내는 건조함 그 자체. 이런 환경에서는 항상 눈 표면을 촉촉하게 적셔주어야 할 눈물이 쉬 마른다. 오후가 될수록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겨울에는 바깥 공기의 습도도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안구건조에 따른 후유증으로 안과를 찾는 환자는 평소의 배 이상으로 늘어난다.
아파트같이 건조하기 쉬운 주거환경이나 대기오염, 스트레스 증가 등도 안구건조증을 증가시킨다. 눈을 자극하는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사용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꼽힌다.
원래 안구건조증은 폐경기 전후의 중년 여성에게나 흔한 안과 질환이었다. 나이가 들면 호르몬이 부족해져 눈물이 그만큼 적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많으며 나이가 들수록 많이 생긴다.
그러나 요즘엔 나이와 상관없이 안구건조증을 겪는 사람이 흔해졌다. 컴퓨터 모니터를 오랫동안 쳐다보고 일을 하거나 게임을 하는 경우, 작은 물체나 글씨를 많이 보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특히 많다. “일에 집중하다 보면 눈을 깜빡거리는 횟수가 적어지고, 따라서 눈이 쉽게 뻑뻑해진다”고 윤호병원 안과 박영순 원장은 말한다.
공기가 나쁜 밀폐된 공간이나 난방기구를 틀고 환기를 잘 시키지 않는 곳, 눈에 자극을 주는 휘발성 물질이 많은 곳에서 일하는 경우에도 안구건조증이 잘 생긴다. 주위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건조한 바깥 바람을 많이 쐬는 경우도 마찬가지. 눈이 특히 예민한 사람이나 과음 후 안구건조증이 잘 생기는 사람도 있다.
아침에 눈이 뻑뻑하고 아파 눈을 뜨기 힘든 경우도 있다. 잠자는 동안 눈물의 생산이 중단되어 건조상태가 더욱 심해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반사자극으로 인해 눈물이 많이 나는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콘택트렌즈를 끼면 흘러나오는 눈물의 양이 줄어든다. 5년 이상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안구건조증의 위험에 놓여 있다.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찬윤 교수는 “렌즈에 의해 각막이 오랫동안 저산소증이 되거나 렌즈 세척제에 포함된 보존제로 인해 생긴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원인일 수도 있다”고 설명한다.
일단 눈이 뻑뻑하고 시린 증상으로 불편하다면 안구건조증을 의심해야 한다. 눈이 건조해진 결과 눈이 따갑고 화끈거리거나 찌르는 듯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불편하기 짝이 없다. 가끔 실 같은 끈적끈적한 눈곱이 생기기도 한다. 이런 증상은 만성 결막염이나 알레르기성 결막염과 혼동되기도 한다.
반대로 결막염 같은 안과질환 때문에 안구건조증이 생기는 것이 아닌지 체크해볼 필요도 있다. 류머티스성 관절염이나 여러가지 피부질환, 만성 결막염, 안검염, 안면 신경마비 등이 안구건조의 증상을 가져올 수 있다.
녹내장 등 다른 눈 질환이 있을 때 안약을 함부로 사용해도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이뇨제나 베타차단제, 항히스타민제, 수면제, 신경치료제, 진통제 등은 안구를 건조시킬 수 있다. 출산 후 젖 말리는 약을 지나치게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안구건조증이 있으면 불편 때문에 일의 능률이 오르지 않는다. 콘택트렌즈를 끼는 경우에는 착용감이 떨어지고 부작용이 생기며 세균감염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때문에 단지 불편한 증상으로만 여기고 그대로 두면 상태가 심해져 시야가 흐려지고 각막궤양 결막염 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안구건조증에 대처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은 인공누액을 사용하는 방법. 심하지 않으면 인공누액만 잘 사용해도 불편이 사라진다.
인공누액은 액상안약, 안연고, 젤 등 형태가 다양하며 눈의 상태에 따라 어떤 것을 넣어야 할지, 얼마나 넣어야 할지가 달라지므로 반드시 안과 전문의와 상의한 후 선택해야 안전하다.
누액의 경우 처음에는 2시간마다 사용하되 증상이 개선되면 4시간, 6시간으로 간격을 늘려가는 것이 보통이다. 그때마다 상태를 진단받는 것이 좋다. 인공누액은 방부제가 들어있는 것과 들어있지 않는 제품이 있는데, 최근에는 방부제가 들어있지 않은 누액이 많이 개발되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 중에는 눈이 건조할 때 렌즈 세척용 식염수를 직접 눈에 넣는 경우가 적지 않다.
눈이 건조할 때 식염수를 넣으면 일시적으로 눈을 적셔주는 효과는 있으나 식염수를 눈에 오래 넣으면 눈물까지 씻어내고 희석시켜 오히려 안구건조증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만들 수 있고 세균 감염의 위험도 크다. 안구건조증이 있을 때는 콘택트렌즈 착용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실내공기가 너무 건조해지지 않도록 유지하면 눈물의 증발이 줄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가습기나 젖은 수건 등으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난방 온도를 조금 낮추는 것도 도움이 된다. 반면 잦은 머리 염색이나 눈화장, 스프레이 헤어드라이어 등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바람이 심한 날은 바람막이용 보호안경을 쓰는 것도 좋다.
이 정도의 관리법으로 웬만한 안구건조증은 증상이 악화되거나 후유증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관리를 해도 눈의 수분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는 눈물샘의 기능 자체에 문제가 생긴 탓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안과에서는 수술도 고려하게 된다.
송은숙 건강전문 프리랜서
도움말/연세대의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찬윤 교수, 윤호병원 안과 박영순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