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2드럼 있으나 내진보강 대상에서도 제외, ‘하나로’ 원자 내진보강도 원전수준으로 강화해야
[대전=일요신문] 박하늘 기자 =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의 방사능 폐기물 저장고에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도 원전수준 인 규모 7.0의 지진을 견딜 수 있는 내진보강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5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한국원자력연구원 국정감사에서 문미옥 의원(더민주,비례)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원자력연구원의 내진적용 대상 건물 52동 중 실제 내진적용이 된 건물은 24개동(46.2%)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내진설계가 미적용 된 방사능 폐기물 저장고 중에는 중준위 폐기물 922드럼이 저장된 고준위 폐기물 저장고가 포함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중준위 폐기물저장고를 비롯해 고준위 폐기물저장고 극저준위 폐기물저장고 등 3개의 방사능 폐기물 저장고는 지난 1985년에서 1988년 사이에 지어진 노후된 건물들이다.
원자력연 내에는 총 9950드럼의 방사능 폐기물을 보관하고 있으며 방사능 준위가 높은 핫셀발생 중준위폐기물 922드럼, 시설운영 및 실험과정에서 발생한 중저준위 6625드럼, 극저준위 폐기물 2403드럼이 보관돼 있다.
이 방사능 폐기물 저장고들의 반경 2km내에는 학교, 대형마트, 아파트 단지 등이 위치해 있어 지진 및 자연재해로 폐기물 저장고 손상돼거나, 무너졌을 경우 인근 주거지역이 무방비 상태로 피해를 당할 우려가 높다.
정부는 지난 2015년부터 원자력연구원에 45억원의 예산을 지원해 내진설계 기준 미충족 건축물에 대한 내진보강 사업을 진행했으나, 이 방사능 폐기물 저장고는 내진보강 대상에서 제외된 상태다.
폐기물 저장고 외에도 폐수처리시설, 발전로설계동 등 방사선 및 유해물질 안전 관련 주요 시설들도 내진설계가 되지 않았다.
문미옥 의원은 “원자력연구원 저장고에 저장된 폐기물은 경주 방폐장으로 가야 하거나, 그곳에서도 받아주지 않는 위험한 방사능 폐기물”이라며 “주거 밀집지역 의 내진설계조차 되지 않은 건물에 방사능 폐기물을 보관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의 내진보강작업도 원전수준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성수 의원(더민주,비례)은 “원자로 외벽은 규모 6.5의 지진에도 견뎌야 하지만 하나로는 외벽전체면적의 4.8%가 내진설계 기준에 미달하는 6.4까지만 견디는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2015년 하나로의 설비보강 조치를 내려 현재 원자력연은 내진보강공사를 위한 설계와 시공업체 선정이 완료돼 현재 하나로의 내진보강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김 의원은 “최근 정부가 기존 원전의 내진성능을 규모 7.0으로 보강한다고 밝혔는데 원자력연구원의 연구용 원자로는 제외됐다”며 “연구로의 안전성에 대한 지역주민의 우려가 큰 만큼, 내진 성능을 대폭보강하는 조치가 뒤따라야한다”고 강조했다.
대전 하나로는 지난 2012년 지질자원연구소 조사결과 활성단층으로 분류된 공주단층, 십자가 단층과 각각 20km, 17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지역에 위치해있다.
한편, 김성수 의원은 원자력연으로부터 지난 9월22일 제출받은 자료에서는 건축물 34개 중 13개만 내진적용이 안됐다고 했으나 지난 10월4일에는 건축물 52개 중 28개가 내진적용이 안됐다고 답변을 바꿔 자료축소 의혹도 제기했다.
ynwa21@ilyods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