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지 마유미, 日 후쿠시마 지원 네트워크 사무국장
일본 NPO ‘후쿠시마 지원·사람과 문화 네트워크’의 군지 마유미(郡司 眞弓) 씨는 지난 25일 열린 대전시청에서 열린 ‘원자력안전 시민대토론회’에서 자신이 직접 목격한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모습을 전했다.
그는 후쿠시마 실상을 알리기 위해 지난 2014년부터 한국에서 순회강연을 하고 있다.
후쿠시마 주민이었던 그가 원전사고에서 배운 것은 “사람이 조작하는 한 ‘절대안전’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안전은 정부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날 토론회 기조발제에서 ”한국에도 ‘원자력은 안전하다’는 말이 있었다. 일본도 안전하다며 ‘안전신화’를 만들어왔다. 그러나 그 신화는 무너졌다“며 입을 뗐다.
이어 그는 원전사고 이후의 후쿠시마의 모습을 설명했다.
그는 ”누구도 예상 못한 일이었다“며 ”방사능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였고 그 이후 비와 눈에 의해 땅에 침착돼 후쿠시마 일대가 피폭됐다“고 말했다.
원전사고 후 일본 정부는 원전으로부터 20km 이내 거주자 만 강제피난 시켰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방사능 유출 지점의 80km까지 피난명령을 내린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80km 이내에는 100만 명이 살고 있었다. 일본 정부에는 이같은 시뮬레이션 없었다. 그래서 20km 이내 거주자 만 피난시켰다.
그러나 후쿠시마 사고로 주변 광역지자체까지 피폭됐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1년 뒤 30km 밖에도 주민들에게 강제 대피 명령을 내렸다.
사고 당시 16만 명이 후쿠시마 내외로 피난을 갔으며 현재 후쿠시마로 돌아오지 않은 피난자는 4만 명이다.
군지 사무국장은 ”후쿠시마가 방사능 오염지점이라 물자를 배송안해줘 1개월간 먹을것도 없었다“며 사고 직후 피난생활을 떠올렸다.
그는 당시 피난민들이 생리적욕구(잠잘곳, 화장실, 욕조, 물, 음료확보불안,여진불안), 사회적욕구(친구나 가족의 안부), 심리적 욕구(스트레스 상승) 등의 변화를 겪었다고 설명했다.
건강피해도 심각한데 특히 갑상선암에서 두드러진다고 했다. 인구 200만명인 후쿠시마에서는 174명이 갑상선암에 걸렸다. 원래 갑상선암에 걸릴 확률은 100만명중 1명이라고 알려져 있다.
대전과 비슷한 원자력 연구시설 밀집지역인 토카이무라의 임계사고도 소개했다.
지난 1999년 발생한 ‘토카이무라 임계사고’는 우란늄이 핵분열하며 일으킨 사고로, 2명의 사망자와 666 명의 피폭자를 발생시켰으며 350m 40세대 강제피난과 10㎞ 이내 외출금지 등 막대한 손실을 가져왔다.
이 사건이후 토카이무라의 원자력 연구시설들은 지역주민들과의 주기적 모임을 만들고 상담창구를 설치하는 등 신뢰를 얻기위한 노력을 했다고 군지 사무국장은 설명했다.
군지 사무국장은 원자력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발로 데이터를 찾고 자신의 눈으로 보고 자신의 머리로 판단하라“며 ”왜곡되고 축소된 정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다음 세대에 부채를 남기지 않아야 한다“며 ”핵 실험은 핵무기와 연관된다. 또한 핵폐기물을 남기지 않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힘줘말했다.
그는 맺음말에서 ”30년전 ‘체르노빌 원전사고’가 터졌을 때 일본은 일본원전과 달라 안전하다고 했다“며 ”한국도 마찬가지다. 유성의 연구시설과 후쿠시마 원전은 다르다. 그러나 1%의 위험성이 있다면 그 위험성을 어떻게 해결할지 다자간 프로세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ynwa21@ilyods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