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200억 정부지원 포함 2021년까지 총 4조 9000억 규모
이들 지역에는 2021년까지 국비 1조 200억, 지방비(1조 3000억)와 민간자본(2조 5600억) 등 총 4조 9000억 규모의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된다.
도시재생 2차 사업지구는 총 17곳으로 이 중 도시경제기반 형이 서울·대구 2곳, 근린재생 형이 부산영도‧울산중‧충주‧전주‧안동‧김해‧서울용산‧서울구로‧부산중‧부산서‧부산강서‧인천강화‧부천‧춘천‧나주 등 15곳이다. 또 도시재생선도 지역에 도시경제기반형의 청주 1곳이 선정됐다.
국토부는 마중물 사업으로 190건을 지원하고 문체부, 중기청, 행자부, 산자부, 여가부 등 14개 관계부처는 102개 사업에 대해 협업을 통해 함께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창동·상계는 창동·노원역 주변의 면허시험장 이전부지, 환승주차장부지 등을 활용한 R&D 특화 기능유치 및 문화시설 조성 등을 통해 신 경제중심지 조성을 추진한다.
대구 서‧북구는 도시경제기반 형으로 서대구 KTX역세권 개발 및 노후산업단지 재생과 연계해 서대구에 경제·교통·문화 허브를 구축한다.
부산 영도구는 중심시가지 근린재생 형으로 시청과 상권의 이동으로 쇠퇴한 지역(봉래동)에 ‘문화‧기술 융합’을 중심으로 활성화를 추진하는 등 지역 특색에 맞는 사업이 추진된다.
울산 중구는 근린재생 형으로 산업 침체 등으로 쇠퇴한 중심시가지(중앙동)에 ‘원도심 강‧소경제’를 목표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충북 충주시는 중심시가지 근린재생 형으로 공공시설 이전 등으로 쇠퇴한 지역(성서동)에 ‘청년‧역사문화자산’을 활용한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전북 전주시는 중심시가지 근린재생 형으로 도시 외연이 성장해 쇠퇴한 지역(풍남동)에 ‘역사문화자산‘을 활용해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경북 안동시는 중심시가지 근린재생 형으로 주요 행정기관 등의 이전으로 쇠퇴한 지역(중구동)에 ‘안동웅부 재창조‘를 비전으로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경남 김해시는 중심시가지 근린재생 형으로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쇠퇴한 지역(동상동)에 ‘가야역사문화‘를 중심으로 활성화를 추진한다.
서울 용산구는 일반 근린재생 형으로 건축의 제한 등으로 쇠퇴한 지역(용산2가동)에 ‘문화예술마을 조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서울 구로구는 일반 근린재생형으로 중국동포 밀집 등으로 쇠퇴한 지역(가리봉동)에 ‘G-밸리(서울 디지털 산업단지) 배후지역‘의 잠재력을 이용하여 활성화할 계획이다.
부산 중구는 일반 근린재생 형으로 도심 내 급경사 등으로 쇠퇴한 지역(보수동)에 ‘책방골목‘ 등 지역 자산을 활용하여 활성화할 계획이다.
부산 서구는 일반 근린재생 형으로 일본인 공동묘지 등으로 쇠퇴한 지역(아미동)에 ‘비석문화마을‘을 비전으로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부산 강서구는 일반 근린재생 형으로 GB 및 강서신도시 무산 등으로 쇠퇴한 지역(대저1동)에 ‘생태‧음악‘을 중심으로 도시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인천 강화군은 일반 근린재생 형으로 방직 등 주요 산업이 침체되면서 쇠퇴한 지역(강화읍)에 ‘역사자산’을 활용해 도시 활성화를 꾀한다.
경기 부천시는 일반 근린재생 형으로 뉴타운 해제 등으로 쇠퇴한 지역(소사본동)에 ‘성주산이 품은 활기찬 소사마을’을 비전삼아 재생할 계획이다.
강원 춘천시는 일반 근린재생 형으로 캠프페이지가 이전하면서 쇠퇴한 지역(근화동)에 소양강과 번개시장을 활용해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전남 나주시는 일반 근린재생 형으로 혁신도시 및 신시가지 개발 등으로 쇠퇴한 지역(근남동)에 ‘역사문화자산’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충북 청주시는 도시경제 기반 형으로 구 연초제조창 부지의 민간참여사업 여건 개선 등을 위해 복합공영주차장건립사업을 추가하고 업무·판매·주거시설 등 도입시설을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내용이 계획변경 사항에 포함됐다.
손태락 국토도시실장은 “이번에 국가지원 사항이 확정된 도시재생 사업지구는 지난 4월 도입된 관문심사를 통과해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준비가 끝난 지역”이라며“특히 각 지자체에서 주민 중심의 상향식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거쳐 다양한 부처‧민간 협업 사업을 이끌어 낸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로 앞으로 국토부는 계획에 맞춰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이번 특위에 상정되지 못한 2차 도시재생지구 16곳도 올해 상반기 중에 계획을 수립해 차질 없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특히 올해는 도시재생선도 지역 사업이 4년차에 접어든 시점이므로 선도지역의 성과를 중점 관리하고 우수사례는 널리 확산되도록 노력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lin13031303@ilyods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