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억 웰니스 스파 임상지원센터, 완공 2개월 지났지만 세부 운영계획도 없어
웰니스스파.
[충남=일요신문] 박하늘 기자 = 충남도가 지역산업 육성을 위해 역점 투자한 충남테크노파크(충남TP)의 주요 기관들이 기대 이하의 성과를 내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160억 원이 투자된 웰니스스파 임상지원센터는 운영계획도 꾸려지지 않은 채 방치돼 있으며 46억 원이 들여 세워진 수소차충전소는 외면 받고 있다.
이를 지켜보고 있는 지역민들은 수백 억 혈세를 낭비만 하는 것 아니냐며 비난하고 있다.
<일요신문>은 충남TP의 주요 기관들을 직접 찾아가 현재의 운영실태를 짚어 보았다.
#완공된 지 2개월 째, 세부운영계획도 잡히지 않은 ‘웰니스 스파 임상지원센터’
지난 21일 기자가 찾은 ‘천안시 성남면 용원리의 ’웰니스 스파 임상지원센터‘는 무성한 잡초에 둘러싸여 덩그러니 서있었다.
맞은 편의 워터파크 리조트로 이어지는 관광객들의 차량행렬과는 큰 대조를 이뤘다. 길 건너편에서 들려오는 사람들의 탄성소리가 센터를 더 쓸쓸하게 했다.
집중호우로 센터 앞 인도는 쓸려 내려온 토사로 엉망이 돼 있었고 토벽은 곳곳이 파여 있었다.
잡초들은 사람의 무릎만큼 자라 센터 주변을 에워싸고 있었으며 배수로에도 가득 올라와 있었다. 배수로는 물을 흘려보내지 못한 채 구정물로 가득 채워져 위생을 염려케 했다.
센터의 출입문은 자물쇠로 묶여 있었다. 창문을 통해 들여다 본 내부에는 아무것도 없이 텅 비어있었다.
지난 5월에 건물이 완공됐지만 2달이 넘도록 장비 구축도 하지 않은 채 운영에 들어가지 못한 것이다.
센터는 충남도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158억 4100만 원(국비 51억 원, 도비 35억 원, 시비 35억 원, 민자 37억 41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연면적 2413㎡,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지어졌다.
센터는 관광객 유치를 위한 스파체험 시설과 스파관련 제품 개발을 위한 장비를 구축해 스파를 이용한 웰니스 사업과 화장품 관련 기업 지원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GMP(우수식품·의약품의 제조·관리 기준)급 화장품 제조 관련 장비가 들어올 예정으로, 지역 기업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충남TP 바이오센터 관계자는 “원 사업기간은 11월까지다. 건물 준공이 돼야 장비구축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사업이 건물 준공과 맞물리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지만 건물 완공으로부터 개소까지 6개월이나 차이가 난다는 것은 석연치 않은 부분이다.
한 지역 주민은 “센터 개소가 건물 완공과 맞물렸다면 올 여름 리조트를 찾은 관광객들이 센터의 다양한 체험시설을 이용해 홍보효과가 컸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더욱이 충남TP는 사업이 시작된지 2년이 지났는데도 센터의 세부운영계획조차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때문에 운영 차질과 개소 지연은 불가피해 보이며 센터의 장비활용을 원하는 민간기업들의 사업차질도 예상된다.
충남도 산업육성과 관계자는 “센터 운영 주체인 충남TP가 인력배치 등 운영안을 내놓지 않아 구체적인 계획이 정해지지 않았다”며 “이달 중으로 운영계획이 잡혀야 8월부터 센터에 입주할 기업을 선정할 수 있다. 그래야 개소에 맞춰 원활한 운영에 들어갈 수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이재정 충남TP 바이오센터장은 “사실상 건물은 예정보다 조기에 완공된 것이다. 운영계획은 내부적으로 완료된 상태”라며 “시설구축과 운영은 따로봐야 한다. 장비에 따라 직접 들여와 운영할 수 있는 것과 산자부, 미래부의 심사를 받아야 하는 것이 따로 있다. 올 연말까지 구축을 마무리 질 것이며 10월까지는 센터 운용 업체와 계약이 될 것으로 본다”고 해명했다.
#내비게이션에도 잡히지 않은 ’내포 수소충전소‘
충남TP가 운영중인 ’내포 수소충전소‘도 웰니스 스파 임상지원센터’의 모습과 별반 다를 바 없었다.
수소충전소는 찾아가는 길조차 험난했다.
기자의 내비게이션에는 내포 수소충전소가 검색되지 않아 찾아가는데 애를 먹었다. 본격 운영된지 2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위치가 검색되지 않는다는 것은 선뜻 이해할 수 없었다. 이 지역 지리에 밝지 않은 외지인들 수소충전소 이용이 어려워 보였다. 수소충전소의 이용률이 현저히 낮은 이유를 새삼 알 것 같았다.
어렵게 찾아간 수소충전소는 사람의 발길을 잊은 채 우울한 기운을 내뿜고 있었다. 관리가 되지 않은 충전소 주변 인도에는 보도블럭 사이에 잡초들이 무성해 주변을 걷기조차 어려웠다. 충전소 주변지역도 개발이 덜 된 탓에 풀만 가득했다. 충남TP에서 파견된 근무자 1명이 충전소를 지키고 있었다.
내포 수소충전소는 2015년 10월 내포에 세워졌다. 총 46억(국비 15억, 지방비 15억, 부지매입 16억)이 투입됐으며 충전기 2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 충전소는 하루 최대 40대를 충전할 수 있는 전국최대 규모를 자랑하지만 정작 하루 평균 이용차량는 13~14대에 불과하다. 지난해 수소충전량도 6만2307 Nm3(루베)에 그쳤다.
이처럼 충전소의 이용률이 저조한 이유로 충전소의 낮은 접근성과 충남도의 소극적인 수소연료전지(FCEV) 자동차 보급정책이 꼽힌다.
충전소는 충남도청 인근 외진 곳에 위치해있다. 고속도로와도 멀리 떨어져 있어 충남도청을 방문하지 않는 한 일부러 찾아와 이용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또한 앞서 말했듯 일부 내비게이션과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는 충전소 위치가 검색되지 않아 찾아가기 힘들다.
이와 맞물려 충남도의 미진한 수소차 보급 정책도 충전소 이용률 저하에 한 몫을 하고 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오는 2025년까지 수소차 90대를 보급하겠다고 선언했다. 3600대를 보급하겠다고 한 전기차·전기이륜차에 비해서는 너무 초라한 숫자다. 도의 역점산업으로 수소차 육성을 내건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아울러 충남도의 수소차 지원금도 1000만 원에 불과하다. 수소차 분야의 경쟁 지자체인 울산시가 지원하는 2750만 원의 반도 안되는 금액이다. 울산시는 최대 600만 원의 국세·지방세 감면 혜택도 주고 있다.
충남도의 이같은 행보에 덩달아 충남TP도 수소충전소 운영과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
이은웅 충남TP 자동차센터장은 “수소차가 아직 보급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한 활성화 된 것이다. 전국 17개 수소충전소 가운데 상업용으로 이용되는 4기 중 가장 활성화 된 것”이라며 “세제혜택 등 기초지자체의 대응이 조금 늦는 감은 있는데 올해부터 보급에 나선다고 하니 괜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산업육성을 위해 수백 억의 세금이 들어간 사업이 결실을 보기 위해선 지자체와 실무기관의 정교한 행정력이 절실해 보인다.
ynwa21@ilyods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