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 이후 3년만에 연간 무역액 1조 달러 재진입
무역통계 작성(‘56년~) 이래 역대 최단기간 수출 5,000억 달러 돌파(11.17일), 11월까지의 연간 누계 기준 사상 최대 수출실적(’17.1∼11월 수출액 5,248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6.5%↑) 기록 등 성과에 힘입어, ’14년 이후 3년만에 연간 무역액 1조 달러 재진입에 성공했다.
금년도 한국 무역은 세계 10대 수출국 중 1~9월(누적) 수출 증가율 1위(18.5%), 세계 수출 순위도 전년대비 두 단계 상승한 6위를 기록(’16년8위) 하였다.
이는, 글로벌 보호 무역주의 강화, 지정학적 불안정성 등 불리한 대외 여건에도 불구하고, 타 경쟁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달성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한국의 금년 1~9월(누적) 교역액은 7,852억 달러(전년동기대비19.2%↑)로 8위 영국(7,995억 달러)에 이어 근소한 차이로 전년과 동일한 교역 순위인 9위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전 세계 교역에서 차지하는 교역 비중은 금년 1~9월(누적) 기준 3.3%로, ‘16년도 2.8%에 비해 상승하여 최초로 3.0%대 진입 및 역대 최고 교역 비중(수출 비중도 3.6%로 역대 최고) 달성 가능성이 높다.
역대 무역 1조 달러에 진입했던 국가는 한국 포함 9개국이며, ’16년 기준으로 미국·중국(3조 클럽), 독일(2조 클럽)에 이어 1조 클럽 국가는 일본·프랑스·네덜란드·홍콩·영국 순이다.
금년 한국 무역이 선전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은 품목 다변화·고부가가치화, 품목·지역별 고른 성장세, 남북 교역축 신흥시장 성장 등으로 분석되어 과거 대비 질적으로도 진전된 성과를 보였다.
13대 주력품목 수출비중이 과거 마지막으로 1조불을 달성한 ‘14년 80.6%에서 ’17.1∼11월(누적) 78.3%로 하락하여 13대 주력품목에 대한 집중도가 완화되었다.
특히, 8대 신산업(수출비중:’14년8.4%→’17.1~11월12.6%)과 유망 소비재(수출비중:’14년3.5%→‘17.1~11월4.7%)의 수출비중이 각각 증가하는 등 품목 다변화와 고부가가치화가 확대되었다.
기존 주력품목 내에서도 일반기계 수출 2위 및 ’17.1∼11월(누적) 기준 역대 최대 실적(441억불) 달성, 석유화학 수출 10대 주요지역에서 모두 14% 이상(’17.1~10월) 증가, MCP가 DRAM에 이어 반도체 세부품목 수출비중 2위로 부상하는 등 품목별로 고르게 선전하였다.
’17.1∼11월(누적) 기준 10대 주요 지역 중 9개 지역(중동 제외)의 수출이 모두 증가하여 지역별 편차 없이 수출이 성장하는 가운데, G2(中·美) 수출비중이 ‘14년 37.6%에서 ’17.1∼11월(누적) 36.5%로 하락하는 등 수출 지역의 다변화도 진전되었다.
특히, 아세안이 ‘11년부터 2위 수출지역으로 자리매김하는 등 최근 남북 교역축 신흥시장에 대한 수출이 활성화(‘17.1~11월 수출액1,575.9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9.4%↑) 되고 있다.
또한, 주요 FTA 발효국*에 대해서도 수출 품목 다변화가 확대되고, 수입시장 내 우리나라 수출 품목 점유율도 상승하는 추세이다.
주요 FTA 발효국에 대한 1천불 이상 수출 품목수가 각각의 지역별 FTA 발효 직전연도 대비 최근 상승 추세이고, 발효국별 수입시장 내 우리나라 수출 품목 점유율도 증가세롤 보이고 있다.
ilyo08@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