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도식 교수
[대전=일요신문] 육심무 기자 = 대장암 세포에서 다양한 암 신호전달 경로를 동시에 억제하는 물질이 보고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은 18일 부산대 민도식 교수 연구진이 암억제유전자와 종양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활성화된 대장암의 생성을 억제하는 표적물질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대장암 세포증식을 촉진하는 PLD단백질*이 윈트신호전달과 PI3K 세포증식 신호전달을 모두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암억제유전자(Apc)와 종양유전자(Ras 또는 PI3K)에 모두 돌연변이가 일어난 대장암 환자의 암조직을 생쥐에 이식한 후 PLD 억제제를 투여했을 때, 종양이 60%감소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민도식 교수는 “이 연구는 대장암 치료 내성을 일으키는 PLD를 억제하여 다양한 암신호전달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음을 밝힌 것”이라며,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항암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개발 방향을 제시할 것”라고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다.
대부분의 대장암은 암억제유전자(Apc)에 돌연변이가 생겨 윈트신호전달계가 활성화되면서 발병된다.
이에 윈트신호전달계를 조절하는 항암제 개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대장암환자의 대장암조직에서 PLD1의 발현이 높거나 ICAT의 발현이 낮은 경우, 예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LD1의 발현이 낮거나 ICAT의 발현이 높은 경우, 예후가 좋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주고 있다. 즉, 대장암 조직에서 PLD1와 ICAT의 발현이 예후에 중요하게 관여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암억제유전자뿐만 아니라 종양유전자에도 동시에 돌연변이가 발생한 대장암의 경우, 윈트신호전달 이외의 또 다른 암세포 증식 신호전달경로가 활성화되면서 기존 항암제에 대한 내성이 생긴다.
따라서 다양한 암 신호전달 경로를 동시에 억제하는 표적단백질과 약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집단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 성과는 암 전문분야 국제학술지 임상암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 12월 1일 표지논문으로 게재되었다. (논문명 : Phospholipase D1 Inhibition Linked to Upregulation of ICAT Blocks Colorectal Cancer Growth Hyperactivated by Wnt/β-Catenin and PI3K/Akt Signaling)
ilyo08@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