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신문] 일본경제가 지난 2년 동안 연속 성장세를 기록했다. 따라서 실업률이 25년 만에 최저수준인 2.4%로 떨어졌다. 청년들은 일자리가 많아 고용잔치까지 벌이고 있다. 지난 10일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일본경제의 고질병인 디플레이션이 없어졌다고 밝혀 잃어버린 20년이 끝났음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1980년대 일본경제는 파죽지세로 발전하여 미국경제를 제치고 세계 최강경제로 부상했다. 그러나 미국이 무역적자를 막기 위해 체결한 플라자 협약으로 인해 엔화가치가 50%까지 오르자 일본경제는 수출경쟁력을 잃기 시작했다. 설상가상으로 1990년대에 들어서 부동산시장의 거품이 꺼지자 일본경제는 물가가 하락하여 성장이 멈추는 디플레이션의 함정에 빠졌다. 이후 잃어버린 20년을 겪은 일본경제가 최근 몇 년간 온갖 몸부림을 쳐 다시 살아났다.
일본경제가 장기침체를 벗어나 다시 일어선 가장 큰 힘은 아베노믹스였다. 2012년 말 아베정부가 출범해 특단의 경제정책을 내놓았다. 엔화공급을 무제한 늘려 일본상품의 수출가격을 낮췄다. 최고 37%에 달했던 법인세율을 20%대로 내렸다. 여기에 각종 규제를 풀어 기업투자를 활성화했다. 이에 호응하여 기업들은 사업구조를 과감하게 바꾸고 연구개발 투자를 늘려 기술력을 끌어올렸다. 그 결과 일본경제의 신화인 제조업이 다시 살아났다. 2013년 세계 10위까지 떨어졌던 제조업경쟁력 지수가 최근 4위로 올라섰다. 일본의 대표적인 기업인 소니는 아베노믹스 시행 이전 파산의 위기까지 맞았다. 2017년 소니는 다시 일본 제조업의 선두주자로 일어서 8조 5000억 엔에 이르는 매출을 기록했다. 소니 70년 역사상 최대 매출규모다. 2012년에 비해 11배가 넘는 4800억 엔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한국경제가 성장동력을 잃고 비틀거리고 있다. 지난 50년 경제성장을 이끌던 주력산업이 부실화하여 잠재성장률이 2%대로 추락했다. 문제는 우리나라 산업이 중국과 미국의 협공을 받고 있는 것이다. 중국기업들은 우리기업들을 추격하여 숨을 막고 있다. 미국은 미국우선주의를 내세워 무차별적인 무역보복을 가하고 있다. 해운산업은 국제경쟁력을 잃어 이미 반 토막이 났다. 조선산업도 구조조정의 대열에 섰다. 철강산업도 미국의 25%의 추가관세 부과로 인해 위험하다. 우리경제의 최후 보루인 자동차와 반도체도 언제 무역보복의 타격을 받아 흔들릴지 모른다. 자칫하면 경제의 성장기반이 와해의 위기를 맞을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가계부채가 1450조 원을 넘어 연쇄부도위험에 처했다. 금리가 오르고 부동산시장의 거품이 꺼지면 한국경제는 1990년대 일본경제처럼 잃어버린 20년에 진입할 수 있다.
우리경제가 침몰의 함정에서 벗어나 다시 일어서려면 새로운 산업발전체제의 구축이 불가피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부실기업을 산업논리와 금융논리를 함께 반영해서 정리할 방침이다. 동시에 벤처와 중소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여 혁신성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러나 정부정책의 효과가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다. 우선 부실기업의 정리가 일자리보호 우선으로 인해 기업연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최근 청산가치가 존속가치보다 높다고 판명이 난 부실 일부조선사들에 대해 기업회생절차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 사례다. 더욱이 벤처와 중소기업 육성이 재정지원에 치중하여 근본적인 활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기업구조조정은 부실을 확실하게 도려내는 시장원칙에 따라야 한다. 벤처와 중소기업 육성은 규제혁파, 노동개혁 등 기업환경개선을 전제로 해야 한다.
이필상 서울대 초빙교수, 전 고려대 총장
※본 칼럼은 일요신문 편집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
▶ 저작권자© 일요신문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일요신문i는 한국기자협회,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일요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