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이런 소문들은 아직까지 반은 사실이고, 반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산자부 등 관련 당사자들이 몸담고 있는 부서의 감사실에서는 “향응을 받은 적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중앙공무원교육원 고위 정책과정에서 같은 분임조로 교육받고 있는 재경부 A국장과 산자부 B국장 등 12명은 6월23일을 전후해 1박2일 동안 산업현장인 포스코의 광양제철소를 방문할 예정이었다.
▲ 지난 4월 청남대 여야 대표 회동서 골프를 치고 있는 노 대통령. 노 대통령의 ‘골프장려’ 발언은 공직사회에 ‘골프를 치느냐 마느냐’하는 고민을 던져주기도. | ||
문제는 이들이 공장 견학과 더불어 골프 접대를 요구했다는 점이다. 이들은 공장을 방문할 때 “견학 뒤 골프도 하면 좋겠다”는 요구를 포스코에 전달했다는 것.
결국 ‘접대 골프 요구설’이 권장해야 할 고위 공무원들의 현장 방문을 오히려 ‘스캔들’로 뒤바꾼 계기가 된 셈이다. 하지만 이런 ‘청탁’은 실제 현실화되진 않았다.
지난달 15일께 이들의 현장 방문과 골프청탁건이 알려지면서 청와대가 진상조사에 나서는 등 한바탕 소동이 벌어진 것.
이번 사건에 연루된 공무원들은 자신이 직접 예약한 광양행 왕복 항공표와 숙박표를 보여주면서 청탁성 현장 방문이 아님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이번 사건의 관련자들이 근무하고 있는 해당 부처에선 이번 사건의 조사가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다며 처리결과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다만 이와 관련해 산자부 등에서는 “이번 사건은 미수에 그친 사건”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현장 방문을 하지도 않았고, 때문에 청탁이 이뤄진 부분도 없다는 것.
관가나 재계에선 이 사건이 불거진 과정에 대해서도 눈길이 쏠리고 있다. 상반기 내내 국세청의 골프 접대비 불인정 파문과 국세청장이 스스로 재임기간중 골프를 안치겠다는 공개약속, 이어 대통령의 골프 장려 발언 등 공직 사회에서 골프를 치느냐 안치느냐가 뜨거운 감자로 부각됐었다.
때문에 고위 공무원 일행이 포스코를 방문하기 1주일 전에 골프 회동 시도가 드러난 것 자체가 공직사회에 대한 사정이 아니냐는 ‘기획 사정설’까지 등장시키는 등 공직 사회를 일순간 얼어붙게 만드는 소동이 일어난 것.
이 사건의 발설 당사자로 지목되고 있는 포스코는 곤혹스런 입장인 듯 입을 다물고 있다. 한편 산자부는 이번 사건이 불거진 직후 부패방지법과 대통령령에 따라 ‘산자부 공무원 청렴유지 행동강령’을 훈령으로 제정했다.
지난 5월19일부터 시행된 이 강령은 직무 관련자와 관련 공무원으로부터 대가없는 물품, 유가증권, 숙박권, 회원권 등은 물론 음식물, 골프 접대, 교통, 숙박 편의제공을 받을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기업들이 골프 때문에 곤욕을 치르고 있는 케이스는 최근 들어 부쩍 늘고 있다. 최근 그룹 전체가 위기에 처한 A그룹의 경우 오너 경영인이 불미스런 일로 구속된 지난 5월 초 주말에 핵심 임원들 중 절반 이상이 연락두절되는 일이 벌어져 내부에서는 아직도 수군대고 있다. 당시 연락이 안된 사람은 물론이고, 연락이 닿은 상당수 임원들도 골프장에 있었다는 것.
그룹총수가 골프 자제령을 내린 S그룹의 경우에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 그룹의 경우 핵심 임원들 중 4~5명이 평일 근무시간에 서울 근교 골프장에서 골프를 친 사실이 총수에게 전해져 급기야 그룹 전체 임원들의 골프 자제령으로 확산됐다는 것. 당시 골프를 친 것으로 확인된 일부 임원 중에는 근무와는 상관없이 내기골프를 즐긴 것으로 알려져 망신을 당했다는 후문이다.
한편 골프 자제가 확산되는 가운데 골프회원권 거래소에 법인 및 개인 회원권이 무더기로 쏟아져 때아닌 회원권 거래가 활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법인 회원권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도물량이 50% 가까이 늘어났다는 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법인 회원권을 팔려고 하는 매도자들 중에는 이름이 알려진 대기업들이 많은데, 대부분 유명 골프장 회원권이어서 눈길을 끌고 있다는 것. 이 때문에 지난해까지만 해도 급등세를 이어가던 일부 유명골프장 회원권 값이 소폭 하락하거나 보합세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