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 대구시의 로봇산업 육성 전략 보고회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대구 달성군에 있는 현대로보틱스 공장 내부를 돌아보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보고회에서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로봇산업 선도도시 대구 조성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사진=대구시)
[대구=일요신문] 대구시는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가 정부의 제3차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면서 관련 산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지난해 3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자리에서 발표한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로봇산업 선도도시 대구 조성 방안’ 관련 사업 추진과 올해 산업부 주관 지역산업 뉴딜 프로젝트 사업 중 지역특성화 사업으로 선정된 제조로봇의 자동차부품, 기계·금속, 섬유 등 지역 주력산업과의 연계 협력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내다봤다.
대구시는 지난 6일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가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 규제자유특구위원회의 최종 심의 결과, 제3차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동식 협동로봇(Mobile Manipulator)은 이동식 대차 위에 협동로봇이 결합한 형태의 신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이다. 현재 작업현장에서는 정지 상태에서만 작동이 가능해 이동 중에도 작동할 수 있도록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신청했다.
시에 따르면, 지역의 에스엘㈜ 전자공장과 평화정공, 유진엠에스, 유성정밀공업, 아진엑스텍 등 18개 참여 특구사업자는 올해 8월부터 오는 2024년 7월까지 4년 간 현대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LG전자 등 협력사업자의 로봇을 활용해 성서산업단지 일부 등 14곳의 제조·생산현장과 비대면 서비스 현장에서 이동식 협동로봇의 이동 중 작동을 허용하는 특례를 적용받아 실증을 실시하게 된다.
권영진 시장은 이번 특구 지정과 관련 “현재 세계 각국에서 이동식 협동로봇 시장 선점을 위해 응용연구와 표준화작업이 경쟁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면서 “국내 로봇기업의 글로벌 로봇시장 선도를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국제표준 선점이 시급한 시점으로, 특구 내 실증을 통해 이동식 협동로봇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검증함으로써 기술과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실증데이터를 활용해 이동식 협동로봇의 안전기준안 마련, 국내·외 표준 선도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조·생산현장에서 이동식 협동로봇의 이동 중 바코드 인식과 검사, 폴리싱(연마), 자세 변경 등의 작동을 실증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을 통한 생산효율 증대와, 대규모 설비 투자가 어려운 다품종 소량생산 위주의 중소기업에게 저비용으로 유연한 생산공정 구축을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 “일상생활 공간에서 이동식 협동로봇의 이동 중 살균·방역 서비스 실증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확대되고 있는 비대면 로봇서비스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향후 사람과 공간을 공유하는 다양한 로봇 기반 서비스 발굴로 로봇 융복합 신시장의 창출과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는 이번 특구 지정을 통해 참여기업의 매출 증대 1767억원, 수출 1916만 달러, 신규고용 384명, 국내·외 로봇기업 7개 사 유치 등을 기대하고 있다. 지역경제에는 생산 2359억원, 부가가치 642억원, 고용 684명의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대구시는 5대 미래신산업 중 하나로 로봇산업을 육성해 왔다. 현대로보틱스 등 글로벌 로봇기업 5개 사와 세계 11개국 13개 클러스터가 참여하는 글로벌 로봇 클러스터(GRC)도 확보하고 있다.
지난해 3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자리에서 대구시는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로봇산업 선도도시 대구 조성방안’을 발표하고 5G기반 첨단 제조로봇 실증기반 구축 사업과 생활융합형 서비스로봇 육성 시범사업, 로봇활용 사회적 약자 편익 지원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지난달에는 산업부 주관의 지역산업 뉴딜 프로젝트 사업에서 대구 제조로봇이 지역특성화산업으로 선정되면서 자동차부품, 기계·금속, 섬유 등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협력을 통한 로봇산업 성장을 지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김성영 대구/경북 기자 ilyo07@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