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태영 수원시장이 지난 9월 21일 100대 시범 운영에 들어간 수원시 공유자전거 ’타조‘(TAZO)를 타 보이고 있다. 사진=일요신문DB
[대구=일요신문] 대구시가 지원하는 민간 운영 공유자전거 대구 도입 필요성이 제기됐다.
대구가 공유자전거 운영을 위한 인프라가 잘 갖추진 데다 비용 대비 편익(B/C)이 좋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하지만 안전문제와 도시미관 훼손 등 도입에 따른 사회문제는 해결해 할 과제란 지적이다.
대구경북연구원 정웅기 박사는 12일 ‘대경 CEO Briefing’을 통해 민간 운영 공유자전거의 대구시 도입을 제안했다.
정 박사에 따르면 공유자전거 도입 장점에 대해 먼저 대중교통수단이 갖지 못하는 문전연결성(door to door)을 들었다.
단거리 개별 교통수단을 대체할 수 있고, 타 대중교통 수단에 비해 개인 수요에 맞춰 운행할 수 있는 준대중교통수단이란 점도 들었다.
공유자전거 도입 관련 인프라가 잘 돼 있다는 점도 제시했다.
대구시 자전거 수단 분담률은 2016년 기준 1.9%로 전국 대도시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자전거도로도 2018년 기준 1039㎞로 전국 대도시 중 가장 높다.
시민의식조사(2018. 9. 15~17, 표본수 500명)에서도 자전거 이용자의 자전거 이용 환경(자전거도로, 보관대, 편의시설, 안전성 등)에 대한 만족도가 92%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자전거 도입 필요성에 대해서도 ‘매우 필요하다’가 22.5%, ‘필요하다’가 54.8%로 긍정적 응답이 76.8%로 나타났다.
비용 대비 편익(B/C)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대전시 사례로 한 기존 연구에서는 연간 총편익(이동시간 단축, 의료비용 절감, 주차장 건설비 및 주차비용 절감, 차량운행비 절감 등)이 약 557억7000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연간 운영비용은 약 4억5000만원, B/C 16.2로 경제적 타당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사업주체는 민간업체로 추진할 것을 권했다. 정 박사는 “시는 사업 초기 투자와 운영비 등 부담이 없고, 민간업체는 시의 주차시설 등 잘 갖춰진 인프라와 행정지원 등을 무상으로 받으면 서로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공유자전거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공유경제의 새로운 모델로 부상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관리부실과 안전문제, 자전거 방치로 인한 도시미관 훼손 등 문제점에 대해서는 사전 운영 협약서를 통해 신중하게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 “공유자전거 운영주체는 소수의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민간업체”란 점도 덧붙였다.
요금면에서는 “지자체 운영시 하루 이용권 1000원에 비해 민간은 30분당 300~500원 수준으로 지자체보다 비싼 편이긴 하지만 도시철도나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에 비해서는 저렴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공유자전거(Bicycle-sharing System)는 지난 2016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용어다.
이전에는 공공자전거(Public Bike System)로 불렸는데 최근 IT기술 발달로 대여와 반납 방법이 더욱 편리하게 됐다.
2018년 3월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전기자전거가 일정요건을 갖추면 자전거도로에서의 운행도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지난해 3월부터 인천 연수구를 시작으로 서울 송파구, 위례신도시, 울산, 전주, 세종, 성남 등 전국적으로 민간 전기공유자전거 도입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공유자전거와 함께 최근 공유킥보드 이용자수도 크게 늘어나면서 관련 사고도 전년대비 168%로 대폭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과속 방지 및 부족한 자전거도로 설치 등 보행자 안전을 최우선시 하는 정책도 함께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김성영 대구/경북 기자 ilyo07@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