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금리 6개월 만에 0.6%p 올라, 주담대도 0.1% 상승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지난 2월 25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9∼3.65% 수준이었다. ‘1%대’ 신용대출 금리가 등장했던 지난해 7월 말의 1.99∼3.51%와 비교해 하단이 0.6%포인트나 높아졌다. 이 시점은 같은 해 3∼5월 한국은행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방어 차원에서 두 달 만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1.25→0.50%)로 대폭 낮춘 뒤 은행 대출 금리에도 저금리 기조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던 때였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의 지난 2월 25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가 연 2.59~3.65%를 기록했다. 1%대 신용대출 금리가 처음 나왔던 지난해 7월 말과 비교하면 하단이 0.6%포인트 높아졌다. 서울 시내 한 은행의 대출 상담 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신용대출 금리뿐 아니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반등하고 있다. 4대 은행의 지난 25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금리(코픽스 연동)는 연 2.34∼3.95%였다. 역시 지난해 7월 말(2.25∼3.95%)보다 최저 금리가 0.09%포인트 올랐다.
신용대출 금리는 은행채 6개월‧1년물 등 금융채 단기물 금리를 기준으로 삼는다. 6개월 사이 0.6%포인트나 뛴 데는 기본적으로 이들 금융채 금리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국고채 10년물 등 장기 금리가 경기 개선이나 인플레이션 기대 등을 반영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설 만큼 올랐는데, 단기물의 경우도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 신용대출 지표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지난해 7월 말 0.761%에서 지난 26일 기준 0.856%로 반년 만에 0.095%포인트 높아졌다.
하지만 신용대출 지표금리의 0.1%포인트 상승만으로 0.6%포인트에 이르는 신용대출 금리 인상 폭을 모두 설명하기 어렵다. 나머지 금리 상승분은 지난해 10월 이후 금융당국이 본격적으로 신용대출 규제에 나서면서 은행들이 우대금리 폭을 크게 깎은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신용대출 금리는 기준(지표)금리에 거래실적 등을 반영한 우대금리를 빼고 정해진다. 지난해 말 은행들은 신용대출 규제의 수단으로 앞다퉈 우대금리를 0.5%포인트 이상 줄였다.
대출 금리 오름세는 새로 대출을 받을 사람뿐만 아니라 이미 대출을 받은 기존 차주들에게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최근 신용대출 증가 속도가 눈에 띄게 더뎌진 데는 증시 정체 등뿐 아니라 금리 상승도 적지 않게 영향을 미쳤다는 게 은행권의 분석이다. 지난 2월 25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135조 1747억 원으로, 지난달 말(135조 2390억 원)보다 643억 원 줄었다.
문상현 기자 moon@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