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유통 채널과 최대 28.8%p까지 차이
직거래를 활성화하는 등 농가소득이 확대될 수 있는 유통구조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국회의원(부산 사하갑)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상추·대파·애호박·무·감귤 등 친환경 농산물의 대형유통업체(백화점 등) 유통마진은 평균 74.3%, 친환경 전문판매점은 평균 57.5%, 학교급식은 40.5% 등이었다. 대형유통업체의 유통마진이 타 유통채널에 비해 최대 33.8%p 많은 것이다.
대형유통업체의 과도한 유통마진은 소비자 가격의 상승을 불러왔다. 친환경 농산품 유통은 ‘생산자(농민)-도매단계-소매단계’로 나뉜다. 친환경 상추가 친환경전문점에서 유통될 경우, 생산자가 도매단계에 판매해 수취하는 금액은 1,402원, 최종 소비자가격은 3,055원이었다.
그러나 대형유통업체를 통해 판매될 경우 생산자 수취가격은 1,455원으로 큰 차이가 없지만, 최종 소비자 가격은 6,125원으로 2배가량 높았다.
친환경 감귤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친환경 전문점의 생산자 수취가격은 2,100원, 최종 소비자 가격은 5,716원인데 반해, 대형유통업체는 생산자 수취가격 2,300원으로 큰 차이가 없지만, 최종 소비자 가격은 10,272원으로 1.8배나 높았다.
특히 대형유통업체로 유통된 친환경 농산물은 소매단계인 백화점·대형마트 등의 마진이 전체의 약 50% 수준에 달했다. 친환경 감귤의 경우 소비자가격 10,272원 중 약 7,900원이 도소매 유통마진으로 책정되고, 그 중 절반(47.5%)수준인 4,879원이 대형유통업체의 주머니로 들어갔다.
대형유통업체로 공급된 친환경 농산물은 가격경쟁력에서 밀려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고, 결과적으로 친환경 농산물의 판로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2020년 친환경농산물 유통실태조사’ 보고서를 통해 친환경 감귤의 경우 대형유통업체와 연계한 특판 행사 등 다양한 소비촉진 방안을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유통 마진이 높아 대형유통업체에 공급되는 농산물 양이 2017년 15.9%에서 2020년 4.5%로 급감했다고 지적했다.
최인호 의원은 “농산물 유통문제는 농가소득과 직결된 문제로 유통마진이 소비자가격의 약 78%까지 차지하는 비정상적인 구조는 개선될 필요가 있다”면서 “농식품부가 지자체, 농협 등과 연계해 직거래를 활성화하는 등 농가소득이 확대될 수 있는 유통구조 개선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하용성 부산/경남 기자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