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가장 놀란 사건이 일본 대지진 사건이다.
예수의 십자가에는 버림받은 인간의 원형이 있다. 로마 병정들은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를 채찍으로 때렸고, 박해자들은 초라하게 사라져가는 예수를 맘껏 조롱했다. 평소 예수를 따르던 제자들은 그날을 감당하지 못하고 두려움으로 인해 도망쳤다. 그 상황에서 옆구리를 찔리고 손과 발에 못이 박혀 피범벅이 된 예수의 육체조차 점차로 예수를 떠나고 있다. 세상이 예수를 완전히 버렸고, 예수의 몸까지도 예수를 버리려 하고 있다. 모든 것에서 버림받은 그 상황의 절정이, 아마도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라는 외침은 아니었을까?
‘버림받음’은 인간의 보편적 문제다. 어느 날 갑자기 연인에게서, 가족에게서, 직장에서 버림받은 참을 수 없는 배신감에 총 맞은 것 같았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은 낯설지 않다. 버림받음은 하이데거의 언어를 빌리면 ‘던져진’ 수동적 사건이다. 그 던져진 수동적 상황은 어쩌면 더 이상 ‘나’를 버린 그 대상에 집착할 필요가 없다는, ‘나’를 버린 그 대상에 의존하여 살 필요가 없다는 생의 신호인지도 모른다.
예수에게서 배우고 싶다. 처참하게 버려지면서도 내가 너희를 위해 죽는다고, 나를 알아달라고 호소하지도 않았고, 억울하게 죽는 거 알기냐 하냐며 항변하지도 않았던 그 현자에게서. 십자가형이라는 어마어마한 고통 앞에서 예수는 동요하지도 않았고, 의기소침해져 우왕좌왕되지도 않았다. 예수는 스스로 자신을, 신의 각본 속에 들어있는 주연배우로 내세운 적도 없다.
예수는 저 기막히게 불행한 사건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줄 알았다. 그래서 예수는 조용히, 저들은 저들이 하는 일을 모르는 거라고 기도하기만 했다. 예수의 매력은 그 엄청난 불행을 두려워하지 않고, 의연하게 불행의 강을 건너고 침착하게 고통의 산을 넘었다는 데 있다. 그 힘으로 예수는 고통 자체를 의미 있는 것으로 변화시켰다.
그 예수를 통해 배운 게 있다. 어쩌면 불행은 나쁜 게 아닐지도 모르고 고통은 해로운 게 아닐지도 모른다는 것! 고통을 겪어보지 않은 삶은 단단해질 수 없다. 그러니 십자가 앞에서는 적어도, 고통을, 슬픔을, 불행을 모르게 해달라고 기도할 게 아니라 우리가 불행을 겪을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이기를, 슬픔을 잘 소화할 수 있는 사람이기를, 슬픔은 슬픔대로 오게 하고, 기쁨은 기쁨대로 가게 할 수 있는 사람이기를 기원하고 고백할 수 있어야 할 거 같지 않은가.
이주향 수원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