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례 유찰…정부 손해 보는 장사
▲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 위치한 다스 서울지사. 유장훈 기자 doculove@ilyo.co.kr |
<일요신문>이 ‘다스’를 지속적으로 주목하는 이유는 다스 지분의 향후 변동 여부에 따라 그동안 설만 무성했던 이명박 대통령의 차명재산 의혹의 실체가 일부 드러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스의 일부 지분이 경매 사이트 매물로 나왔고 그 소유주가 기획재정부라는 <일요신문>의 단독보도가 나간 이후 그 반향은 뜨거웠다.
여러 언론을 통해 후속 기사가 뒤따랐을 뿐 아니라 구체적인 사항들을 묻는 국회의원들의 전화도 이어졌다. 특히 정봉주 전 민주당 의원의 BBK발언 대법원 유죄확정 판결 이후 기사는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급속히 확산됐다. ‘삼성 X파일’ 보도로 유명한 이상호 MBC 기자는 자신의 트위터에 ‘중요한 기사’라며 기사 주소를 링크해놓기도 했다. 또한 지난해 신드롬을 일으키며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인터넷 방송 ‘나는 꼼수다’의 새해 첫 방송(1월 2일)에서도 이 내용은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다스 상속세의 비밀’이라는 주제의 당시 방송에서 김어준 등 출연진들은 일요신문 보도 내용을 인용하며 앞으로 다스 지분을 누가 사들일지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처럼 다스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서는 그 지분의 변동 과정 및 현황에 대해 다시 한 번 ‘스터디’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재광 정치컨설턴트는 “야권에서 BBK가 심각한 문제라고 아무리 호소를 해도 국민들에게 잘 먹히지 않았던 것은 그 내용이 너무 어려웠기 때문이다. 전문가인 우리조차도 이해를 못한 부분이 적지 않았다. 따라서 다스를 부각시키기 위해선 최대한 쉽게 설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 다스 지분이 경매에 나온 배경과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선 본래의 주주 구성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당초 다스의 최대주주는 이 대통령 처남인 고 김재정 씨(48.99%)였다. 이 대통령 큰형 이상은 씨가 46.85%로 그 뒤를 이었고, 나머지 4.16%는 이 대통령 지인으로 알려져 있는 김창대 씨가 가지고 있었다. 지난 대선 때 현 야권에선 ‘김재정 이상은 씨 등은 대리인일 뿐 실소유주는 이명박 대통령’이라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한동안 잠잠했던 다스가 다시 스포트라이트를 받기 시작한 것은 2010년 2월 김 씨가 사망하면서부터다. 김 씨 보유 지분이 과연 누구에게 상속될지 세간의 눈과 귀가 쏠렸다. 결국 김 씨 지분은 부인 권 아무개 씨에게로 넘어갔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주목해야 할 부분이 있다. 바로 김 씨 지분 중 5%가 이 대통령 출연 재산으로 설립된 청계재단으로 넘어갔다는 것이다. 이것은 곧 1대 주주가 바뀌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편 김재정 씨 지분 48.99%에서 43.99%만을 물려받은 권 씨는 2대주주로 내려갔고, 1대 주주는 이상은 씨가 차지했다. 이상은 씨와 청계재단 지분을 합하면 51.85%가 돼 사실상 다스의 지분 절반 이상이 이 대통령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봐도 무방해 보인다. 비록 5%뿐이지만 청계재단이 ‘캐스팅보트’ 역할을 톡톡히 하는 셈이다. 이 과정에서 처남댁인 권 씨가 불만을 토로했다는 소문도 들렸다. 지난해 4월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이명박 대통령과 처남댁이 재산문제로 말썽이 있다는 소문이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 이후에도 <일요신문>은 김 씨가 남긴 재산의 향방에 대해 예의주시해왔다. 김 씨 소유의 청담동 고급빌라는 1983년생인 아들에게 상속됐고, 충북 옥천군을 비롯한 전국 각지의 부동산은 권 씨가 물려받았다. 그러던 중 지난해 12월 초 권 씨 지분 중 일부가 경매에 나왔다는 ‘흥미로운’ 정보를 입수했다.
취재 결과, 지난해 11월 16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운영하는 경매 사이트 ‘온비드’에 다스 지분 19.73%가 입찰가 830억 원으로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유주체는 기획재정부였고 주식 수는 총 5만 8800주였다. 그러나 당시 입찰은 유찰됐고, 그 후에도 총 다섯 차례 입찰(11월 23일, 11월 30일, 12월 7일, 12월 14일, 12월 21일)이 실시됐지만 모두 주인을 만나지 못했다. 그 결과 현재 입찰가는 500억 원가량으로 떨어진 상태다. 이 지분은 권 씨가 물려받은 유산의 상속세를 납부하기 위해 지난해 5월 국세청에 물납으로 맡겼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캠코 측은 “기획재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국유재산을 파는 절차”라고 밝혔다.
권 씨가 내놓은 다스 지분은 여섯 차례 입찰이 수포로 돌아가면서 그 가격이 최초 입찰가보다 300억 원 이상 낮아졌다. 정부 입장에선 원래 받아야 할 세금보다 더 적은 금액을 징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 지분 경매를 놓고 ‘음모론’을 제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앞서의 민주당 중진 의원도 “이 대통령 측이 합법적으로 싼값에 지분을 확보하려는 시나리오 아니겠느냐”고 주장했다.
몇몇 정치권 관계자들 사이에선 이번 지분 변동을 다스의 싱가포르 이전설(<일요신문> 1020호)과 맞물려 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대통령이 퇴임 후 발생할지도 모르는 말썽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싱가포르로 다스 이전을 검토하고 있고, 그 전에 ‘확실하게’ 지분을 ‘교통정리’하려 한다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25일 이혜훈 한나라당 의원도 “다스가 본사를 싱가포르로 옮기는 게 굉장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 (싱가포르는) 국세청과 검찰이 압수수색을 할 수 없다”며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동진서 기자 jsdong@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