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퇴임 전에 큰 선물 받을까’
▲ 이명박 대통령의 큰형인 이상은 회장은 다스의 최대주주다. 대통령 일가의 내곡동 사저 매입 의혹과 관련해 지난해 11월 1일 특검 사무실에 출두하는 모습. 임준선 기자 kjlim@ilyo.co.kr |
우선 이번에 매물로 나온 다스 지분 19.73%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자. 생전에 이 대통령의 ‘재산 관리인’이라는 소문이 무성했던 처남 고 김재정 씨는 다스 1대 주주(48.99%)였다. 2010년 2월 김 씨가 사망한 뒤 부인 권영미 씨가 그 중 43.99%를 물려받았다. 나머지 5%는 이 대통령의 출연 재산으로 세워진 청계재단으로 상속됐다.
그 후 <일요신문>이 2011년 12월 권 씨가 상속세를 내기 위해 다스 지분 19.73%를 물납한 사실을 최초로 보도하면서 이 문제는 수면 위로 떠올랐다. 물납이란 상속 혹은 증여로 받은 재산 가운데 부동산과 주식 비중이 절반 이상이고, 이로 인해 내야 할 세금이 1000만 원을 초과할 시 주식이나 부동산으로 세금을 낼 수 있는 제도다.
캠코는 권 씨로부터 받은 지분을 2011년 11월 16일부터 한 달가량 총 여섯 차례 공매에 내놨지만 낙찰되지 않았다. 이 기간 입찰가는 840억 원에서 500억 원으로 떨어졌다.
지분 매각을 담당했던 관계자는 당시 기자와의 통화에서 “국유 재산을 파는 절차다. 조만간 회사 가치를 재산정해 공매에 내놓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런데 지난해 공매될 것으로 알려졌던 이 지분은 어찌된 영문인지 해를 뛰어넘어 2013년 1월에야 매물로 나왔다. 이를 두고 야권 일각에선 청와대가 대선 악재로 작용할 것을 우려해 그 시기를 늦췄다는 주장도 나온다.
지분이 팔리지 않은 것은 ‘이 대통령 차명 보유설’ ‘본사 싱가포르 이전설’ 등 다스를 둘러싼 여러 의혹들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이 이 대통령 퇴임 후 언제든 다시 불거질 수 있어 매입자로선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2011년 팔리지 않았던 권 씨 지분 19.73%는 최근 경매 사이트 ‘온비드’에 다시 나왔다. 캠코는 지난해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최초 입찰가를 784억 원으로 책정했다. 캠코는 총 여섯 차례 매각을 시도할 계획인데, 1~2회는 예정가의 100%, 3회부터는 유찰시 10%씩 감액된다. 모두 팔리지 않으면 그 가치는 470억 원까지 떨어지게 된다. 정치권과 재계 등에서는 이번에도 지분이 팔리지 않을 가능성에 힘을 싣고 있는 분위기다.
이런 와중에 여권 핵심부 주변에선 이 대통령의 퇴임식 전까진 팔릴 것이라는 추측이 설득력 있게 나돌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를 위해 몇몇 여권 인사들이 물밑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 현 정부 청와대 고위직을 역임한 한 인사는 최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임기를 얼마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다스 지분 매각은) 최대 관심사 중 하나다. 이 대통령이 해결하고 가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기자는 한 중견기업 회장이 청와대 소속 모 인사로부터 ‘은밀한’ 제안을 받았다는 내용의 제보를 접할 수 있었다. 건설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이 회사 회장은 ‘경매로 나온 지분 절반가량을 살 생각이 없느냐’는 말을 전해 듣고 고심 끝에 거절했다고 한다. 해당 업체의 한 관계자는 익명을 요구하며 “200억~300억 원이 필요한데 무리가 있었다. 돈도 돈이지만 그 뒷감당이 더 걱정됐다”면서 “(청와대 측이) 지분을 처분하기 위해 굉장히 서두르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고 털어놨다.
실제로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도 다스 지분 매각과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는 직원들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이 지분 처리를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의 청와대 전직 관료는 “전담하는 팀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민감한 사안이다 보니 챙기고 있는 것으로 안다. 권 씨 물납부터 지분 경매, 매입자 수소문 등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일각에선 매물로 나온 지분 19.73%를 사들인다 하더라도 3대주주에 그쳐 경영권 행사가 어렵다는 점 때문에 계속 유찰되고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현재 다스 최대 주주는 이 대통령의 큰형 이상은 씨(46.85%)고, 2대 주주는 24.26%를 소유한 권 씨다. 그밖에 이 대통령의 ‘절친’ 김창대 씨가 4.16%, 청계재단이 5%를 갖고 있다. 권 씨와 기획재정부 지분을 제외한 56.1%가 이 대통령과 깊숙한 연관이 있다. 이 대통령이 ‘최대주주급’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구도다. 누군가가 3대주주에 올라도 회사 경영에 영향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대통령 입장에선 다스 지분 ‘19.73%’가 갖고 있는 의미는 남다르다. 사실상 다스는 이 대통령 개인 일가 회사나 다름없다. 고 김재정 씨가 갖고 있었던 48.99%의 지분조차 이 대통령의 차명보유 의혹이 있었다는 것을 떠올려보면 더욱 그렇다. 이 대통령이 다스와 관련해 끊임없이 공격을 받았던 것도 이런 까닭에서다. 퇴임 후에도 다스는 이 대통령을 따라 다니며 괴롭힐 소지가 다분하다. 이런 상황에서 제3자가 주요 주주가 된다면 굳건했던 ‘MB 체제’는 금이 갈 수도 있다.
일각에선 다스의 후계구도와 맞물려 해석하기도 한다. 현재 이 대통령의 장남 시형 씨는 다스에서 해외영업 파트 부장으로 근무 중이다. 큰 변수가 없는 한 시형 씨가 다스의 ‘차기’를 물려받을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선 ‘우호 지분’ 확보가 필수적이다. 물론, 현재 지분 분포만으로도 이 대통령 영향력은 절대적이지만 20%에 가까운 지분을 갖고 있는 3대주주가 행여나 ‘다른 마음’을 품는다면 시형 씨로의 승계는 가시밭길이 될 수 있다.
특히 3대주주가 처남댁 권 씨와 손을 잡고 반란을 일으킨다면 다스 경영권은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도 있다. 그동안 권 씨는 상속 유산을 놓고 이 대통령 일가와 갈등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지원 민주통합당 전 원내대표도 2011년 4월 “이 대통령과 처남댁이 재산문제로 말썽이 있다는 소문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이 퇴임 전 지분 공매를 매듭짓겠다고 나선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 살펴보면 쉽게 납득이 간다. 안전한 하산은 물론 다스 내부에서 말썽이 날 수 있는 싹을 자르겠다는 의지가 투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다스 지분을 누가 사들일지에 비상한 관심을 보내고 있다.
여의도 주변에서는 이 대통령과 관련 있는 인물 혹은 기업이 ‘3~4차례 유찰→입찰가 하락→헐값 매입’으로 이어지는 시나리오를 세우고 다스 지분을 매입할 것이란 소문도 돌고 있다.
동진서 기자 jsdong@ilyo.co.kr
현 정부 5년 다스 실적 살펴보니…
매출 ‘따블’… MB 후광 톡톡
다스는 자동차부품 제조업체다. 1987년 7월 대부기공주식회사라는 이름으로 설립됐고, 그 후 2003년 지금의 다스로 명칭을 바꿨다. 지난 2007년 대선과정에서 이 대통령의 실소유 의혹, BBK 김경준과의 소송, 자회사 홍은프레닝(다스 지분 100%)의 시행 사업 등과 관련해 구설이 불거지면서 스포트라이트를 받기도 했다. 그 이후에도 다스는 시형 씨 입사, 내곡동 땅 매입 자금 진원지 의혹 등으로 여러 차례 구설에 올랐다.
그렇다면 막바지로 접어든 이명박 정부 시절 다스의 성적표는 어땠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다스는 현 정부에서 눈부신 성장을 이뤄냈다. 다스 자체의 기술력이 주요 이유겠지만 현 정권의 ‘후광’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게 재계의 대체적인 평가다. 이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지 못했더라면 이렇게까지 잘나가진 못했을 것이란 얘기다.
우선 다스 매출액은 정권이 출범하던 2008년 4262억 원에서 지난해 6491억 원으로 상승했다. 2006년 매출액이 3500억 원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불과 5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끌어올린 셈이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도 증가했다. 2008년 261억 원에서 2011년 332억 원으로 늘어났다. 다스의 2006년 당기순이익은 162억 원에 불과했다. 5년 전에 비하면 지난해 두 배 이상의 당기 순이익을 거뒀다.
이러한 성장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곳은 바로 현대자동차다. 다스 매출액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현대자동차는 지난해에도 2730억 원을 다스에 지불했다. 이는 2008년 1900억 원에서 800억 원가량 늘어난 규모다.
동진서 기자 jsdong@ilyo.co.kr
매출 ‘따블’… MB 후광 톡톡
▲ 서울 양재동 다스 서울지사. |
그렇다면 막바지로 접어든 이명박 정부 시절 다스의 성적표는 어땠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다스는 현 정부에서 눈부신 성장을 이뤄냈다. 다스 자체의 기술력이 주요 이유겠지만 현 정권의 ‘후광’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게 재계의 대체적인 평가다. 이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지 못했더라면 이렇게까지 잘나가진 못했을 것이란 얘기다.
우선 다스 매출액은 정권이 출범하던 2008년 4262억 원에서 지난해 6491억 원으로 상승했다. 2006년 매출액이 3500억 원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불과 5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끌어올린 셈이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도 증가했다. 2008년 261억 원에서 2011년 332억 원으로 늘어났다. 다스의 2006년 당기순이익은 162억 원에 불과했다. 5년 전에 비하면 지난해 두 배 이상의 당기 순이익을 거뒀다.
이러한 성장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곳은 바로 현대자동차다. 다스 매출액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현대자동차는 지난해에도 2730억 원을 다스에 지불했다. 이는 2008년 1900억 원에서 800억 원가량 늘어난 규모다.
동진서 기자 jsdong@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