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보자 ‘선관위 서버’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이 통일부에 요청한 올해 국감자료에 따르면, 2012년 대선을 앞두고 북한이 조평통 등 갖가지 통로로 선거를 겨냥해 정부와 여당을 비난한 횟수는 하루 평균 4.6회로 평균 1.5회에 불과했던 지난 17대 대선보다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북한이 대선 직전 직접적인 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북한 전문가들은 특히 북한의 ‘사이버테러’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북 소식통은 “만약 북한이 대선을 앞두고 도발에 나선다면 사이버테러 형태로 나타나지 않겠나. 군사적 도발보다 부담이 덜 하면서도 저비용 고효율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게 사이버테러다. 모든 것이 전산화되어 있는 국내 사정상,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이다. 특히 김정은이 통치에 개입하기 시작한 지난 2009년부터 북한은 다른 부분보다 사이버테러 도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 배후에 북한 정찰총국 등 몇몇 기관들이 거론되고도 있다”고 말했다.
이미 국내 몇몇 정부기관들은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사이버공격을 받은 바 있다. 피해규모가 컸던 2009년 7·7 디도스 테러 당시에는 청와대는 물론 국정원 홈페이지까지 당했으며 지난해 3월에도 중국 IP를 경유해 들어온 북한 소행 추정 사이버 공격에 다시금 청와대 서버가 뚫리기도 했다.
이번 대선을 직접 주관하고 감독하는 중앙선관위는 북한의 소행은 아니지만, 지난해 10·26 보궐선거 당시 일부 여권 인사가 가담한 사이버 공격으로 홈페이지가 다운되면서 외부 공격의 취약성을 드러내기도 했다. 선관위는 올해 4·11 총선 하루 전에도 한 고등학생의 디도스 공격으로 약 5분간 투표소 찾기 서비스가 지연된 바 있다.
앞서의 대북 소식통은 “대선을 앞두고 북한이 사이버테러에 나설 가능성은 분명 존재한다. 예상할 수 있는 방법이나 형태도 다양하다.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이미 몇 차례나 취약성을 드러낸 선관위 홈페이지 공격이다. 선관위 서버를 파괴하거나, 디도스 공격을 통해 홈페이지 접근 자체를 막을 수 있다. 또 해킹을 통해 투표소 등 몇몇 주요 정보를 조작할 수 도 있다. 투표소 정보 조작만으로도 유권자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그 밖에도 각 대선 후보 캠프 홈페이지의 서버를 막거나 올 2월에 있었던 ‘통합진보당 인공기 테러 사건’처럼 홈페이지 자체를 조작할 수도 있다. 심지어 검경 사정기관이나 국정원 서버에 접근해 예민한 정보를 가로챌 수도 있다. 대선을 앞두고 그러한 정보를 살포해 여론을 혼란시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국내 주요 기관들은 대선을 앞두고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대비해 만만의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1월 7일, 정부는 국방부 등 정부기관과 민간 보안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합동 사이버테러 대비훈련을 실시했다.
한편, 사이버테러 방어의 실질적 책임 기관이라 할 수 있는 국정원 측 관계자는 “국정원 차원에서도 당연히 대선을 앞두고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대해 대비하고 있다. 국내 주요기관 전산망을 중심으로 24시간 관리 및 경계근무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한병관 기자 wlimodu@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