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최경환 의원, 김기현 의원, 이주영 의원, 장윤석 의원.
이번 원내대표 경선에서 최경환 후보(경북 경산·청도, 3선)는 김기현 의원(울산 남구을, 3선)을 정책위의장 파트너로 내세웠고, 이주영 후보(경남 창원·마산합포, 4선)는 장윤석 의원(경북 영주, 3선)과 조를 이뤘다. 이로써 최경환, 장윤석 의원은 둘 다 TK(대구·경북) 중진으로 ‘TK 목장의 혈투’가 펼쳐지게 됐다.
통상 원내대표 선거에 나온 후보군은 지역 안배를 이뤘다. 영남권 후보는 수도권과 힘을 합치거나, 수도권 후보는 수도권 이외 지역과 조를 맞춰 왔다. 같은 지역 후보가 나옴으로써 발생할 ‘출혈성 전투, 친족간 혈투’를 예방하는 차원에서였다. 그런데 이 구도가 이번 경선에서 처음으로 바뀐 것이다.
게다가 장윤석 의원과 최경환 의원은 지난 2011년 한나라당 경북도당위원장 선임 문제를 두고 다퉜고, 장 의원이 사퇴하면서 일단락됐지만 그 골이 깊다는 것은 알 만한 이들은 알고 있다. 장 의원이 일종의 ‘최경환 비토’라는 개인적 감정에서 출마했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이런 사실을 뒤로 하고라도 ‘같은 지역 두 후보’는 새누리당에서 앞으로 전개될 ‘너 죽고, 나 살자’는 식의 혈전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라는 분석은 힘을 받고 있다. 당장 같은 친박계에다 같은 영남권인 최경환 의원과 이주영 의원 간에 후보 양보 분위기가 전혀 없다는 것도 이를 방증하고 있다. 둘 다 자기가 ‘박근혜 사람’이라는 논리를 거두고 있지도 않다.
일각에서는 “이제부터 새누리당 내 모든 경선에서 ‘추대’라는 방식은 사라질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일단 추대의 방식은 일종의 거래로, 성립에 따른 보이지 않는 물밑 거래가 있을 것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내포한다는 것이다. 국민도 추대에 대해선 “저희들끼리 다 해 먹는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다. 또 추대는 추대를 받은 사람이 양보한 사람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보장해야 하는데 앞으로의 정치 상황과 정치 시스템 상 이런 보장과 보상을 확답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정치권 사정에 밝은 한 인사는 “보통 정당의 정책을 지휘하는 정책위의장은 사고의 유연성이 부족한 법조계 출신보다는 경제통이거나 기업가 출신 a등이 많았다”며 “율사 출신의 정책위의장 도전은 앞으로 관행과 상식을 깬 수많은 도전자들이 등장할 것이란 일종의 예고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선우완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