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결국 ‘사람과 돈’
관심은 자연스레 창당 시점으로 모아지고 있다. 안철수 의원은 12월 초 “새정추 위원장단이 꾸려지면 여기서 의논해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안 의원 측근들은 “신당 창당은 6월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니라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준비하고 있다”며 한걸음 물러서는 분위기다.
새정추 출범 당시만 해도 내부에서는 “조기 창당한 뒤 100만 명 이상 광역단위 공천에 집중할 것”이라고 알려졌지만 속사정은 간단치 않아 보인다. 조기 창당에 따른 리스크가 너무 크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새정추 활동은 내부 단속 및 여론지지를 이끌어 내기 위한 ‘펌프질’일 뿐, 6월 지방선거에서는 신당을 띄우지 않고 창당준비위원회(창준위) 단계에서 직함만 주는, 이른바 무소속 연대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윤희웅 민정치컨설팅 센터장은 “신당 창당에 관한 암묵적인 합의는 이뤄졌지만 그 시점에 있어서는 유동적인 상황 같다”며 “다만 지금 상황에서 인적자원 확보가 쉽지 않고 선거가 다가올수록 야권에서 통합의 목소리가 커지는 것이 부담일 수 있다”고 전했다.
윤희웅 센터장은 6월 지방선거 이전 창당 가능성에 관해서는 “기초단위 정당공천제 폐지 유무에 따라 다르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정당공천이 폐지된다면 굳이 신당을 만들 필요가 없다. 무리하게 공천을 진행하다 발생하는 리스크도 막을 수 있다”면서 “다만 정당공천제가 지금처럼 유지될 경우, 안에서 두 가지 의견으로 갈릴 수 있겠다. 창당으로 동력을 키워 좋은 인적자원을 모으고, 기존 실행위원들 요구에도 부응해야 한다는 쪽과 막상 지방선거에서 현역 의원들이 이동이 없을 것임을 고려해 전략적 유보를 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했다.
일각에서는 정당공천제 폐지 유무와 상관없이 지방선거 이전 창당은 불가능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치컨설턴트 김대진 조원씨앤아이 대표는 “당장 2월에 예비후보 등록이 있는데, 지금부터 창준위를 띄워도 3개월은 소요된다. 안철수 신당에서 모든 지역에 후보를 낼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광역의회 비례대표까지는 내야 하는데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라고 전했다.
이어 김 대표는 “안철수 신당은 지지율 5% 이내의 군소정당이 아니라 민주당을 넘어 새누리당마저 위협하는 세력이다. 어느 지역은 후보를 내고 어느 지역은 내지 않으면 비판의 목소리가 나올 것”이라고 전제하고 “그런데 문제는 돈이다. 신당을 만들면 전국 10대 시·도당 운영비에 중앙당 당직자 인건비는 기본이고 본격 선거에 돌입하면 정당홍보물, 선거공보물, 유세차량까지, 상상하지 못할 수준으로 치솟는다. 현재까지 현역 의원이 두 명뿐이어서 정당보조금도 거의 없을 것이다. 창당하면 손해인데, 안 하면 사람과 자금이 모이지 않으니 딜레마인 것”이라고 전했다.
김임수 기자 imsu@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