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 김윤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김윤근 이화융합의학연구원장은 포스텍, 서울아산병원, 단국대병원 연구팀과 함께 동물실험 및 625명의 환자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 같은 연구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세균이 분비하는 나노소포체는 세포 사이에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분비하는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로 초미세먼지에 해당하며 이를 흡입 시 폐포 내 대식세포뿐만 아니라 기도 상피세포에도 흡수돼 기도에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연구팀은 대조군 100명,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환자 200명, 폐암 환자 3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아파트 침대에서 분리한 나노소포체의 위해성을 평가한 임상연구에서 정상 소아는 나노소포체에 약 5%가 감작(먼지 속에 있는 나노소포체가 흡입돼 우리 몸에 나노소포체 항원의 항체가 생성된 것)돼 있는 반면, 소아 천식환자는환자의 반 이상이 감작돼 있는 점을 확인했다. 이는 실내 먼지에 존재하는 나노소포체에 노출되는 것이 소아 천식의 중요한 위험 인자임을 밝혀낸 것이다.
또한 더욱 심각한 것은 성인에게 미치는 위해성으로 나이, 성별, 흡연력과 상관없이 나노소포체에 감작된 경우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발생이 8배나 높았고 폐암의 경우에는 흡연과 상관없이 38.7배의 발생 위험을 보였다.
흡연 이외에도 아파트 실내 먼지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세균이 분비하는 나노소포체가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뿐만 아니라 폐암 발생에 중요한 위험 인자임을 세계 최초로 밝힌 연구결과이다.
김윤근 이화융합의학연구원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아파트 실내 먼지, 특히 침대 먼지가 폐암, 만성폐쇄성폐질환 발생의 원인 인자로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며 “향후 폐질환 진단 키트 및 백신 개발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창식 기자 ilyo11@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