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정기량 과시하는 원성진
<1도>가 주목의 장면. 초반부터 활달하고 능수능란하게 판을 짜 오던 원 9단이 그런 정도로는 성에 차지 않는다는 듯 섬광과 같은 ‘신기’를 보여 주었다.
우상귀에 침입한 백을 요리하던 차였다. 흑1, 백2 다음 계속 잡으러 가는 걸 잠시 멈추고 3에 갖다 붙였다. 검토실은 “기막힌 발상의 천하 명점”이라고 박수를 아끼지 않았다.
축으로 잡혀 있는 흑▲ 두 점의 뒷맛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우하귀 굳힘과 좌하의 두터움을 배경으로 하변을 크게 경영하겠다는 웅지와 박력이 실려있다.
<2도> 백1은 가장 온건한 응수. A나 B 쪽으로 젖히는 것은 말려들 수 있다고 본 것. 하긴 젖히면 되젖히는 것도 있고 맞끊는 것도 있다. 상변 백이 아직 못 살아 있는 마당에 그런 난전은 백이 모험인 것.
흑2 다음 백3의 삭감이 다시 지적을 받았다. 삭감이 시급한 것은 맞지만 너무 깊었다는 것. 백C로 어깨짚고 흑D로 받아주면 백E로 부드럽게 삭감하는 정도로 만족해야 했다는 것.
<3도> 흑1 이하는 성동격서의 견본. 백8은 쓰라리다. 이런 데를 흑9로 뻗게 해 주는 것은 금기에 속하는 행마 아닌가. 백10은 타개의 기본 수법인데 어찌될까.
<4도> 흑1~5에서 백6은 일단 이렇게 모는 것이며 흑도 보통은 2에 잇는 건데, 7로 몰아 의표를 찔렀다. 백8(백2 자리)로 따낼 때 흑9가 준비했던 팻감이다. 백은 받을 수가 없다. 받으면 한이 없으니까. 백10(백2의 윗자리)으로 이어 패를 해소하는 수밖에.
그러자 흑11로 백12를 불러 ‘드디어’ 축으로 잡혔던 두 점을 살려오는 수를 남기고 13으로 애초의 표적을 향해 몸을 돌리며 칼을 들이밀었다. 이후는 흑의 독무대였다. 백에게 단 한 번의 기회도 주지 않고 시종 몰아붙였다.
흑13 때 <5도> 백1은 선수지만 자살골. 흑4를 당하면 이건 정말 살기가 어려운 모습.
한국은 중국을 4 대 1로 꺾고 바둑 단체전 우승을 차지했다.
이광구 바둑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