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CJ 등 정권 ‘칼’ 맞은 기업들 깊숙이 관여…‘돈 퍼주고 뺨 맞을라’ 좌불안석
지난 22일 열린 국회 본회의 경제에 관한 대정부질문에서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미르재단, K스포츠재단 의혹과 관련한 질문을 황교안 총리(가운데)가 듣고 있다. 박은숙 기자
이들 재단의 설립과 기금 모금을 주도한 것은 공식적으로는 전국경제인연합회로 돼 있다. 하지만 전경련이 주도했다고 해도 민간 문화, 체육 재단 설립을 위해 국내 유수의 대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나서 700억 원이 넘는 돈을 두 달 만에 모았다는 것은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미르재단이 받았다는 기부금 목록을 보면 국내 주요 대기업이 다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30개 기업으로부터 받은 기부금은 486억 원. 삼성전자, 삼성화재, 삼성생명, 삼성물산 등 삼성그룹 4개사가 125억 원을 기부해 가장 많이 냈다. 현대자동차와 현대모비스, 기아자동차 등 현대차그룹 3개사가 85억 원을 냈고, SK하이닉스 68억 원, LG화학·LG디스플레이 등 LG그룹 48억 원, 포스코 30억 원가량을 지원했다. 롯데와 CJ 등도 계열사를 통해 20억 원이 넘는 기부금을 냈다.
특히 롯데와 CJ 등 몇몇 기업은 더 깊숙이 관여한 모양새다. 박근혜 정권에서 총수가 구속됐거나, 조사를 받은 CJ와 롯데는 그룹 관계자들이 재단 임원진에 관여했다. 미르재단 신임이사 강명신 씨는 CJ그룹이 박근혜 정부 창조경제의 뒷받침을 위해 만든 문화창조융합센터장이다. 또 미르재단 신임 이사장 김의준 씨는 롯데콘서트홀 전 대표로, 한때 문창극 구명서명운동에 동참하기도 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정권의 ‘칼’을 맞은 곳들이 더욱 앞장서 정권의 실세를 도왔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대기업들이(특히 롯데와 CJ 등) 사건의 흐름을 예의주시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 롯데그룹 고위 관계자는 “검찰 소환 조사를 받은 회장님의 구속 여부 때문에 골치가 아픈데 갑자기 미르재단 얘기까지 나와서 곤란하기 이를 데 없다”며 “이번 일은 사실 전경련에서 주도해서 내막도 잘 모르지만, 이번 일로 우리 회장님이 추가 처벌을 받게 되지는 않을까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다른 대기업도 분위기는 별반 다르지 않다. 검찰 수사를 받은 적이 있는 대기업 관계자는 “보도 내용만 보면 청와대 윗선과 비선으로 거론되는 인물들 간의 의사 결정이어서, 기부금을 낸 우리가 피해자인지 그냥 참고인 신분인지도 모르겠다”면서도 “실무진 선에서 알 수 있는 것도 없지만 만에 하나 검찰 수사로 확대돼 기업 전체가 또 다시 시끄러워지는 게 아닐까 걱정”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법조계는 아직 사건을 관망하고 있는 모양새지만, 언제든 ‘우리 일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정윤회 문건 유출 사건, 성완종 게이트, 우병우 수석 사건 등 이번 정권은 정치적으로 ‘의혹’ 공세를 당하면 무조건 검찰을 찾아 사실 관계 확인을 받지 않았느냐”며 “청와대뿐 아니라 민간단체의 고발이 이뤄질 경우, 또 다시 특별수사팀이 만들어져 수사에 착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남윤하 저널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