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령후 국회의원 사법처리… 비무장지대에 제3 국가 세워
2002년 16대 대선에 ‘박정희 전 대통령의 뒤를 잇는 전통정당’이라 주장하며 민주공화당이란 이름으로 출마했던 허 후보는 당시 ‘조선의 부활’이란 캐치프레이즈를 내걸었다. 그는 ▲당선 즉시 계엄령 선포 후 국회의원 전원 사법 처리 ▲사회 지도층과 정치인 3000명의 살생부 작성 ▲암행어사제도 부활 ▲북한에 미군과 UN군 주둔 ▲불효자 사형 ▲담배 생산 및 판매 금지 ▲한라산 백록담에 물을 채워 1인당 관광수입 10만 달러 달성 등의 공약을 내세웠다.
삼미그룹에서 부회장을 역임했다가 롯데 호텔에서 웨이터로 변신해 국민들에게 놀라움을 주며 16대 대선에 출마했다 중도포기한 노년권익보호당 서상록 후보는 ▲북한에서 살고 싶어 하는 노인들의 이민 허용 ▲개명 절차 간소화 ▲부정부패 범죄자 공소시효 철폐 등의 공약을 들고 나왔었다. 그는 당시 “전국의 웨이터 표만 모아도 125만 표”라며 당선을 확신한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16대 대선에 출마했던 사회당 김영규 후보는 ‘북한을 주권국가로 인정하는 헌법 개정’이란 당시로서는 상당히 파격적인 공약을 내세웠다. 김 후보는 ‘지역 감정을 조성하는 정치인 때려죽이기’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국가보안법 폐지 ▲임금 삭감 없는 주 5일제 근무 ▲WTO 탈퇴 ▲국제 단기투기자본 몰수 등의 공약을 내걸었다.
당시 대한통일당 안동옥 후보는 “인류 역사상 모든 수감자에 대한 사면령을 통해 국민통합을 이룩하자”며 “당선 직후 전국의 모든 감옥을 폐쇄하고 상징적인 의미로 백기를 게양하겠다”는 이색적인 공약을 내걸기도 했다.
또한 1997년 15대 대선에 출마했던 통일한국당 신정일 후보는 “비무장 지대를 중심으로 남북한 완충지대에 제3의 국가를 만든 뒤 이를 확대시켜 통일을 이루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당시 “사랑만이 살길이다”를 외치던 바른정치연합 김한식 후보는 “TV 토론 시간이 교회 예배시간과 겹친다”는 이유로 텔레비전 토론회에 참석하지 않기도 했다.
이들 공약 중 상당수는 황당한 것이었지만 일부는 오늘날 유력 후보들이 내건 공약과도 일맥상통하는 경우도 있어 눈길을 끈다.
김장환 기자 hwany@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