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다물어야 뜨는 남자?
▲ 캐리커처=장영석 기자 zzang@ilyo.co.kr | ||
지난 4월 14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서치 앤 리서치의 월간 정례 조사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39.3%를 기록했다. 지난 2월 10일 조사에서 36.7%, 3월 10일 38.8%를 기록한 데 이어 석 달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 지난 4월 2일 폴리뉴스·모노리서치의 여론조사에서도 이 대통령의 지지도는 40.0%를 기록, 지난해 미국 소 파동 이후 처음으로 ‘마의 40%대’에 진입했다.
같은 기관의 조사에서 지난 3월 26일 37.4%를 기록한 데 이어 한 주 만에 2.6%p(포인트) 상승한 수치였다. 지난 4월 5일 한나라당 부설 여의도연구소가 조사한 결과에서도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도는 42%로 나타났다. 여의도연구소는 6일 당 지도부에 “올해 처음으로 대통령의 지지도가 40%대에 진입했다”며 이 같은 결과를 보고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상승세에 놓인 것은 틀림없다’고 평가한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윤희웅 정치·사회팀장은 “조사마다 편차는 있지만 지난해 촛불국면 당시 10%대까지 내려갔던 지지율이 장기적으로 꾸준히 상승해온 것은 사실이다. 지난해 후반기 전반적으로 20%대를 기록하다가 올해 들어 30%대를 넘어섰고 현재까지 30%대 중반을 이어온 흐름세”라고 평가했다.
그렇다면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40%대에 근접했다는 것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그 일차적 요인으로는 전통적인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층 결집과 함께 40대 층에서도 지지율이 상승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윤희웅 팀장은 “지난해에 비해 영남권과 50대 이상 보수층들의 결집으로 30%대까지 지지율 회복을 가져왔다. 여기에 올해 들어 40대에서도 대통령 지지율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이 점이 최근의 40%대에 근접하는 지지율 수치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아이러니한 것은 가장 ‘정치적 영향력’이 막강한 대통령이 ‘정치적 발언’을 삼갔다는 점이 오히려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최근 정치권의 최대 이슈인 ‘박연차 리스트’ 수사와 노무현 전 대통령 소환 문제 등에 대한 언급을 자제해 왔다.
대신 대통령의 동향과 관련해 신문지면을 장식했던 뉴스는 ‘청와대 안에 IT 전담관을 두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 ‘청와대 벙커에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가졌다’와 같은 ‘경제 관련’ 소식이 대부분이었다. 재보선을 앞두고 있는 한나라당 내에서는 여전히 ‘친이 VS 친박’ 경쟁이 주된 화두였으나 이 대통령 본인은 정치적 사안에 대한 언급을 철저히 피하고 있는 것.
한 정치컨설팅 전문가는 “국민들은 당파 싸움에 골몰하는 정치권에 대해 매우 큰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다. 이 대통령이 당리당략보다 경제문제에 집중하는 모습을 여러 번 연출한 것이 반감을 줄이고 호감도를 높이는 데 크게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장기적인 경체 침체가 오히려 대통령 지지율 상승에 득이 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사회학적으로 경제위기에 대한 불안감은 대중들로 하여금 집권 정부에 대해 의지하려는 경향을 갖게 한다고 한다.
여론조사를 살펴보면 국민들이 이명박 정부의 잘못된 경제정책을 비판하는 의견이 높게 나타나면서도, 동시에 현재의 경제위기가 이명박 정부의 실정 때문만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심리를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황은 최근의 대통령 지지율 상승세에 대해 낙관적 전망만을 내놓게 하진 않는다. 한나라당이 원하는 대로 대통령 지지율이 ‘마의 40%’대를 넘어서 안착하기 위해서는 이 대통령이 주력하고 있는 경제정책이 현실적으로 효과를 거두어야 한다는 분석이다.
몇몇 여론조사 전문가는 “이명박 정부의 개혁정책은 ‘세트메뉴’로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MBC, YTN 등 ‘언론 다스리기’ 작업이 마무리되고, 재보선이 끝난 이후 5~6월경 4대강 살리기 작업이 본격화되면 이 대통령이 원하는 개혁드라이브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것이다. 여기에 경제 회복이 뒤따라준다면 대통령 지지도는 더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반대로 이 같은 정책의 세트 메뉴에서 하나라도 삐걱거릴 경우 지지율이 다시 답보 상태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셈이다.
조성아 기자 lilychic@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