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도정회의실에서 열린 지역정보화 기본계획 완료 보고회 모습
경남도(도지사 김경수)는 2일 오후 도정회의실에서 지역정보화 기본계획 완료 보고회를 개최하고 ‘2025년 경남 디지털 대전환으로 도민이 행복하고 혁신성장 실현’의 비전을 제시했다.
이날 회의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최소한의 인원으로 진행됐으며 하병필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경남연구원, 정보화추진위원 등이 참석했다.
경남 지역정보화 기본계획은 ‘도 지역정보화추진 조례’에 따라 디지털 환경의 변화를 반영해 5년마다 수립·시행한다.
이번 기본계획은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비대면 확산으로 디지털 전환이 큰 화두로 떠오르면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와이파이 통신망 구축 등을 반영한 지능형 디지털 활용, 정보통신기술(ICT)융합, 행정혁신 삼박자를 목표로 9개 전략 33개 미래모델을 제시했다.
주요 내용은 ▲도민행복 서비스 분야 11개 모델 1,224억 원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디지털 조성 분야 13개 모델 4,051억 원 ▲행정혁신 지능형 행정서비스 9개 모델 551억 원 등으로 총 5,826억 원(국비 1,469억 원, 도-시군비 4,357억 원)을 투자한다.
특히 도민행복 서비스 분야 중 ‘광역 버스정보시스템 구축’은 이미 구축된 시군 버스정보시스템(BIS)을 동남권 광역 버스정보 시스템으로 더욱 확대해 동남권 메가시티 교통망을 연결한다는 계획이다.
기업, 대학, 공공이 참여해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야 등 정보통신기술(ICT) 전문인력을 5년간 7,000명 이상 양성할 계획이다. 급격하게 지능정보사회로 진입하는 기업과 산업현장에 필요한 디지털 혁신 미래인재를 육성한다.
행정 내부에도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 CCTV 도시안전망 플랫폼과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도입해 인구이동에 따른 상권분석, 체류형 관광 분석을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112와 119를 연계해 아동보호, 재난관리 등 사회적 서비스가 더욱 강화된 도시안전망이 구축될 예정이다.
하병필 행정부지사는 “지금까지의 정보화는 행정은 중앙 표준식으로, 기업과 소상공인은 독자적·산발적으로 추진해왔다면,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으로 디지털 전환과 공동 협업이 우리의 성장, 번영을 위한 필요 수단이 되고 생존 경쟁력이 됐다”면서 “이번에 수립되는 정보화 기본계획이 우리 도의 정보화 수준을 한층 높이고 도민의 행복과 혁신성장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도시재생사업으로 1,265가구 노후주택 수리
노후주택 수리 후 깔끔해진 모습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는 도민들이 삶의 질이 개선되는 주민체감형 도시재생을 위해 2024년까지 14개 시·군 1,265가구에 집수리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집수리사업은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세부단위사업으로 진행되며, 노후주택정비로 주거환경을 개선하여 주거복지를 개선하는 사업이다.
경남도는 사업이 시작된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총 1,265가구의 노후주택을 정비할 계획이며, 집수리사업이 완료되면 도내 주민 4,600여 명의 주거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경남도는 총 10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도는 집수리사업으로 도시재생사업 지구 내 주로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을 대상으로 단열을 위한 창호교체, 지붕개량과 주택의 미관 개선을 위한 담장수리, 외벽도색 등 상태에 따라 맞춤으로 수리비를 지원한다. 가구당 평균 500~600만 원 정도 지원되며, 비용의 10%는 자부담을 해야 한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창원시 구암동 67가구, 거제시 장승포동 101가구, 하동군 광평마을 54가구, 산청군 상봉마을 41가구, 함양군 용평마을 14가구 등 277가구가 혜택을 받아 집수리를 완료했다.
지난 2일 허동식 경남도 도시교통국장은 설을 앞두고 민생점검을 겸해 산청군 도시재생 현장을 방문해 집수리가 완료됐거나 진행 중인 가구를 방문해 주민들의 의견을 들었다.
허동식 국장은 “앞으로 도시재생은 도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사업으로 이뤄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민들의 적극적인 의견 제시가 중요하다”며 “앞으로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단계부터 도민들이 주신 좋은 의견들을 잘 반영해 사업을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지원기준과 절차는 해당 시·군의 도시재생담당 부서 및 도시재생지원센터에 문의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정동욱 부산/경남 기자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