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센터 “조기진단·치료로 잘 관리하면 여명 보장 가능”
간염은 그 자체의 위험보다는 나중에 간암으로 발전할 가능성 때문에 사람들이 대개 두려워한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증명된다.
2016년 기준으로 폐암에 이어 우리나라 사망률 2위를 기록하고 있는 간암은 만성 B형 간염, 만성 C형 간염이나 간경변증 등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대부분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08년부터 2010년 사이 간세포암종으로 진단된 환자들 가운데 62.2%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10.4%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돼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27.4% 간세포암 환자도 알코올성 및 지방간염이라는 기저질환을 가진 것으로 추정됐다.
온종합병원 간센터 김동현 과장은 “여러 간염 가운데 B형이나 C형 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높은 데다, 간암이나 간경화의 중요한 위험요인이어서 전문의를 통한 정기적인 관찰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서히 진행하는 만성 간질환을 일으켜 대부분 상당기간 동안 무증상으로 환자가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B형이나 C형 간염 환자들은 막연히 두려움을 갖고 있으면서도 암 등 심각한 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지 못해 오랫동안 방치하는 바람에 더 큰 위험을 자초하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간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 질환인 B형 간염은 전 세계적으로도 3억 5천만 명의 만성 감염자가 있다. 매년 60만 명 이상이 B형 간염에서 이어진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및 간세포암종 등으로 숨진다.
B형 간염 백신이 상용화되기 이전인 1980년대 우리나라의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률은 8∼10%의 높은 수준이었으나, 백신 보급 이후 감염률은 점차 감소돼 2008년부터 꾸준하게 3.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만성 간염 및 간경변증 환자의 약 70%, 간세포암종 환자의 약 65∼75%에서 B형 간염의 항원이 검출되는 점을 생각하면, 아직도 만성 B형 간염은 우리나라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간센터 문상이 과장은 “B형 간염은 수직감염이 가장 중요한 감염경로이므로, 가족 중에 보균자가 있거나 다른 간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분들은 검진 등을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추천했다.
검사에서 항체가 없다면 백신 접종여부를 상담해야 하며, B형 간염이 진단된다면 반드시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고 추가 검사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B형 간염의 경우, 완치되는 약이 아직 개발돼 있지 않아, 환자에 따라서 간경화나 간암으로의 이행을 예방하려는 목적으로 선별해서 약물 치료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B형 간염 못지않게 무서운 질환이 C형 간염이었다. C형 간염은 우리나라 국민 1%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나,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어 대개 방치하는 사례가 많았다.
C형 간염의 경우 이전에는 치료가 굉장히 힘들고 효과도 좋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치료약의 개발로 2∼3개월 약을 복용하면 97% 이상 완치되고 있다.
온종합병원 간센터 한상영 센터장(전 동아대병원 간센터장)은 “과거 인터페론 치료에 부작용이 있었거나 효과가 없었던 환자들까지 최근 개발된 신약에 대해 좋은 치료효과를 보이고 있다”면서 “C형 간염을 진단받았거나 간수치 상승을 경험한 사람들은 막연한 두려움을 버리고 반드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신속한 검사와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혜림 부산/경남 기자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