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번째 통화에서 김 의원은 조 씨에게 전화를 걸어 “고발장 초안을 아마 ‘저희가’ 일단 만들어서 보내드릴게요”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런 자료들이랑 그런 것들을 좀 모아서 드릴 테니 그거하고, 고발장을 남부지검에 내랍니다”라며 “음 남부(지검) 아니면 조금 위험하대요”라고 했다. 윤석열 전 총장과 대립하는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관할로 고발장이 들어가면 위험하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특히 제3자가 김 의원에게 남부지검에 내라고 지시한 것을 전달하는 듯한 뉘앙스의 발언이었다.
또한 김 의원은 “이거를 ‘제2의 울산사건이다’”라며 “선거판을 이용해, 이번에는 경찰이 아니고 MBC를 이용해서 제대로 확인도 안 해보고 프레임을 만들어 ‘윤석열 죽이기’ 쪽으로 갔다. 얘들이 조직적으로 움직였다”고 불만을 표했다. ‘검언유착’ 보도를 범여권과 연계된 ‘윤석열 죽이기’로 보고 윤 전 총장을 비호하기 위한 의도로 읽힌다.
통화를 마치고 1분 후 김웅 의원은 ‘손준성 보냄’이 명시된 상태로 고발장에 첨부할 캡처 파일 등을 조성은 씨의 텔레그램으로 전송했다.

김웅 의원은 “방문할 거면 (대검) 공공수사부 쪽이니까, 옛날 공안부장이죠. 그 사람을 방문하는 거로 하면 될 것 같다”며 “제가 가면 ‘윤석열이 시켜서 고발한 것이다’가 나오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혀 다른 이미지를 가야 한다. 예를 들면 언론장악의 피해자라고 할 수 있는 그런 사람을 동원해서 가는 게 더 낫다”며 “검찰색을 안 띠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조 씨가 “그러면 박형준 위원장, 김종인 위원장은 이런 데 안 가실 거고, 퓨어(pure)한 느낌이 좋다는 거잖아요”라고 묻자, 김 의원은 “네. 예를 들면 심재철 의원과 같으신 분은 좋죠. 왜냐면 지팡이 짚고 가서 이렇게 하시면 그거는 모양새가 좋은 거 같아. 그분은 뭔가 투사 이미지도 있고 공권력 피해자란 느낌도 좀 오고”라고 고발장 접수 시 동행인에 대해 제안하기도 했다.
또한 김 의원은 “월요일에 고발장 내러가신다고 하면 ‘그쪽’에다가 이야기를 해놓겠다. 적당한 수순이 나가고, 검찰이 받기 싫은데 어쩔 수 없이 받는 것처럼 하고, 또 이쪽(당)에서 항의도 좀 하시고”라며 세부적 지시도 조언했다.
그러면서도 김 의원은 조 씨에게 “왜 검찰이 먼저 인지수사를 안 하냐고 막 이런 식으로 (항의하라)”면서 “고발장 요건 관련해서는 저는 쏙 빠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웅기 기자 minwg08@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