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새로운 재산관리인 등장?
이번에 도마에 오른 부동산은 지난 대선 때도 이명박 대통령 상대 진영으로부터 집중 포화를 맞았던 곳이다. 미시간주에 위치한 이 단독주택은 현재 100만 달러(한화 약 11억 원) 정도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과 화장실이 각각 네 개씩 있고, 뒤쪽에는 개인 백사장과 수영장 등도 갖추고 있다. 다스는 2006년 9월 김성우 전 사장과 공동명의로 이 주택을 구입했다. 그 후 두 달 뒤 김 전 사장이 자신의 지분을 ‘단돈 1달러’에 넘기면서 다스가 단독으로 보유해왔다. 김 전 사장은 이명박 대통령이 현대건설 사장 재직 때부터 아꼈던 최측근 인사 중 한 명이다. 이 때문에 김 전 사장은 중개인 역할을 했을 뿐 부동산의 실질적인 ‘오너’는 이 대통령일 것이라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
박영선 민주통합당 의원은 지난 2007년 11월 대정부 질의에서 “다스가 미국 미시간주 고급 주택가에 있는 호화주택을 매입했다. 그런데 국세청 통보도 없었고 다스 재무제표에도 반영돼 있지 않다. 국세청 신고가 안 돼 있다면 외국환 거래법 위반으로 2년 이하의 징역, 1억 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한다”면서 “주택 매입 과정에서 분식회계와 비자금 조성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어 박 의원은 “만약 다스의 실질적인 소유주가 이명박 후보라면 미국 부동산 관련 불법행위도 (그 책임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시 정동영 후보 캠프에 몸담았던 한 현역 의원도 “김 전 사장이 1달러에 지분을 판 것을 납득할 수 있느냐. 부동산 매입 자금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확인에 나섰으나 실패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이를 놓고 전형적인 차명재산 세탁이라는 평가가 우세했다”고 전했다.
다스의 미국 부동산이 다시 세간의 화제를 모으는 까닭은 올해 1월경 김 아무개 씨가 새로운 소유주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미국 현지의 한 언론인은 “다스 취재를 하던 도중 이 단독주택의 주인이 바뀌었다는 소문을 접했다. 그래서 등기부를 떼어 봤더니 김 씨가 다스와 함께 공동 명의자로 올라있었다”면서 “2006년 김성우 전 사장처럼 김 씨 역시 어떤 모종의 임무를 부여받은 것 같다. 이 대통령이 퇴임을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다스 재산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 씨의 부동산 지분 매입에 대해 야권에선 ‘다스의 실소유주는 이 대통령’이라는 의혹의 연장선상에서 바라보고 있다. 즉, 퇴임을 앞두고 있는 이 대통령이 김 씨를 내세워 다스가 가지고 있는 해외 재산을 정리하려 한다는 것이다.
민주통합당의 한 중진 의원은 “처남이자 재산 관리인이었던 고 김재정 씨가 해왔던 일을 이제 김 씨가 (미국에서) 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특히 지난해부터 정치권을 중심으로 파다하게 돌았던 ‘다스 해외이전설’과 맞물리면서 김 씨는 더욱 주목받고 있다. 사정기관의 한 고위 인사는 “이 대통령으로선 임기 후를 생각 안 할 수 없을 것이다. 그 중심엔 바로 다스가 있다. 어떻게 해서든 다스와 관련된 문제들을 정리하려 할 것”이라면서 “김 씨의 움직임을 잘 살펴보고 있다”고 털어놨다.
과연 이 대통령은 다스와 관련이 있는 것일까. 아니면 숨겨진 제3자 때문에 억울하게 숱한 의혹을 받고 있는 것일까. 이 대통령의 퇴임이 한발짝씩 가까워지면서 의혹의 실타래가 풀릴 시간도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동진서 기자 jsdong@ilyo.co.kr
▲ 다스가 보유 중인 미국 저택이 다시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이 저택은 이명박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사진은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 위치한 다스 서울지사. 유장훈 기자 doculove@ilyo.co.kr |
<일요신문>은 지령 1022호를 통해 기획재정부가 ㈜다스의 지분 일부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단독 보도한 바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4월경 이명박 대통령 처남댁 권 아무개 씨가 갖고 있던 지분 중 19.73%를 넘겨받아 이 대통령 큰형 이상은 씨(46.85%)와 권 씨(24.26%)에 이어 3대 주주에 올랐다. 권 씨는 고 김재정 씨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의 상속세를 내기 위해 물납 형태로 지분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획재정부는 권 씨로부터 받은 지분을 지난해 11월 16일 공매 사이트에 매물로 내놨다. 최초 예정가액은 843억 원가량, 1주당 약 143만 원으로 산정됐다. 그러나 공매는 다섯 차례 유찰돼 505억 원으로 최저입찰가가 떨어졌다. 당시 재계에서는 “다스가 우량한 회사임엔 분명하지만 정권이 바뀌면 분명 탈이 날 회사를 어떤 곳에서 사겠느냐” “삼성전자보다 주가가 비싸다. 근거를 모르겠다” 등과 같은 뒷말이 나오기도 했다.
캠코는 공매를 다시 진행하기 위해 지분에 대한 가치를 재평가 중이다. 캠코 관계자는 “규정대로 한다. 우선 우리가 일차적으로 하고, 회계법인 감사를 받은 뒤에 기획재정부에 제출하는 절차다. 최종 결정은 기획재정부가 한다”면서 “다스 주가를 부풀릴 이유가 전혀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나 캠코와 기획재정부 내부에선 다스 지분 공매에 쏠린 시선이 부담스럽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캠코 관계자는 “이 대통령과 관련이 있다 보니 윗선에서도 (청와대) 눈치를 보고 있는 것 같다. 우리가 독자적으로 할 단계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고위 인사 역시 “일단 캠코의 안을 받아봐야 결정하겠지만 보통 공매와는 다르게 진행되지 않겠느냐. 어떻게 해도 의혹이 불거질 수밖에 없는 건”이라며 난감해했다.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