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발사 이후 10명, 2차 발사 이후 무려 35명의 직원 및 연구원 이직 러시
▲ 지난 2010년 6월 10일 오후 17시 1분 전남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는 2차 나로호. 아쉽게도 비행 중에 폭발됐다. 사진공동취재단 |
국회 교과위 소속 이용섭 통합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나로호 1차 발사(2009. 8) 이후 2차 발사 전까지 다른 기업이나 기관으로 이직한 인원은 10명이고, 나로호 2차 발사(2010. 6) 이후 현재까지 이직한 직원은 무려 35명에 달했다. 또한 총 이직인원 45명 중 무려 80%인 36명이 비정규직 연구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이직기관으로는 일반기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한항공이 9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처 및 공공기관, 학교 순이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비정규직 연구원을 주로 채용한데 기인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항우연은 최근 5년 간 직원 순 증가수 45명 중 정규직 직원은 오히려 2명이 감소한 반면 비정규직 직원의 경우 47명(77%)이 증가했고, 이 중 비정규직 연구원은 2배로 늘어났다.
나로호 발사와 국가우주개발정책을 담당하는 교과부 국장과 과장의 잦은 보직인사(평균 근무기간 국장 8개월, 과장 9.7개월)로 교과부가 우주개발정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못하고 있는데다가 직접 우주개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항우연마저 나로호 발사에 참여한 연구원이 타 기관이나 기업으로의 이직이 속출하고 있어 우주개발 관련 조직의 총체적 관리 부실이 드러난 셈이다.
이에 이 의원은 “비정규직 연구원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불안한 고용 상태와 일반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급여 수준 등으로 3차 나로호 발사 이후에도 인재 유출은 계속될 것이며 이렇게 될 경우 2021년을 목표로 하고 있는 한국형발사체 사업까지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며 “교육과학기술부는 우주개발 담당 국장과 과장 임명시 전문성 있는 적임자를 최소한 1년 이상 근무토록 안정적인 인사운영체제를 갖추고, 항우연은 비정규직 연구원들이 마음 편히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고용보장과 처우 개선을 통해 인재 유출을 막고 업무연속성과 노하우를 확보해 우주개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성철 기자 anderia10@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