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은 평화적 이용 속은 업계 보호
IAEA가 한국원자력연구원을 사찰하는 모습. 연합뉴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일본의 정부와 언론은 ‘안전하니 안심하라’라는 말만 되풀이했다. 정부와 언론의 말을 전해들은 주민들은 마을을 떠나지도 못했다. 이렇게 긴박한 시간이 허비된 이유는 정부, 안전기구, 언론, 원전건설사들의 복잡한 유착관계 때문이었다. 원자로 손상을 피하려 냉각작업을 지연시킨 원전업체와 권력유지를 위해 사고의 위험을 축소·은폐하려 했던 핵마피아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었던 것.
1986년 4월 우크라이나의 체르노빌에서 발생한 원전사고로 체르노빌 반경 30㎞ 이내 지역 100개 마을이 거주 불능 지역으로 선포되었다. 또한 인근 12개 주 2000개 마을에도 방사능 피해가 발생했으며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피해자수는 3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체르노빌 사고 관련 정부의 보상수혜자도 어린이 66만 명을 포함 총 150만 명이다.
그런가 하면 국제원자력기구 내에는 국제 핵마피아의 이해관계가 존재한다. 최근 ‘유엔 원자방사선의 영향에 관한 과학위원회(UNSCEAR)’라는 기관이 체르노빌 원전사고에 대한 ‘최신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UNSCEAR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본부 내에 있다.
IAEA는 2006년 9월 빈에서 ‘체르노빌, 미래를 향한 회고’라는 제목의 국제회의를 개최하면서 체르노빌 사고에 의한 사망자 수가 ‘약 4000명’이라고 추산하고 언론에 홍보해 전 세계의 비난을 산 바 있다. 그런데 UNSCEAR는 ‘약 4000명’에도 못 미치는 사망자를 발표했다. 또한 UNSCEAR의 볼프강 와이스 위원장은 앞서의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건강에 영향이 있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고 말해 논란이 됐다.
IAEA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로 1957년 설립됐지만 근본적으로 원전 확대를 그 근간으로 하고 있다. IAEA의 홍보부장이었던 요시다 야스히코 교수의 말이다. “IAEA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명목으로 각국으로부터 온 원자력 산업의 대리인들이 업계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서만 활동한다. 국제기구라고 하면 무언가 환상을 가진 사람들이 많지만, 실태를 냉정히 따져봐야 할 것이다”
배해경 기자 ilyohk@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