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다’ ‘어렵다’ 해도 ‘잘 익은 종목들’도 많더라
올 증시는 풍작은 아니어도 SK그룹이 기업 가치가 10.9%나 오르는 등 품종별로는 꽤 괜찮은 수확을 거둔 것들도 많다.이종현 기자 jhlee@ilyo.co.kr
소프트웨어가 26.1%, 통신서비스가 25.9%로 단연 돋보였지만, 바로 다음인 자동차(13%), 호텔·레저(10.55%), 조선(7.6%) 등은 멀찌감치 뒤에 떨어졌다. 특히 운송(-17.9%), 에너지(-11.7%), 증권(-10.6%), 필수소비재(-9.8%) 등은 두 자릿수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종목별로는 편차가 더욱 크다. 코스피200 종목 가운데 117종목이 수익을 냈다.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한일이화로 146.6%나 폭등했다. 특히 대형주 가운데는 네이버가 127.1% 급등했다. 이밖에 한라비스테온공조(69.2%), 쌍용차(67.8%) 등 자동차 관련주가 최상위에 포진했고, 대기업 계열사 가운데는 LG하우시스(67.3%)와 LG유플러스(59.6%)로 가장 두드러진 수익률을 보였다. 호텔신라(48.8%)와 KCC(48%)도 대기업 계열사 가운데는 발군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오뚜기(70.5%), 종근당(70%), 아이에스동서(56.2%), 대웅제약(45.9%), 동원F&B(43.9%), 무학(42.6%) 등 음식료, 제약 등 내수주의 성과도 눈부셨다. 박스권 장이 오랜 기간 지속되면서 안정적으로 이익을 내는 업종이 주목받은 까닭이다.
초대형주 가운데는 SK텔레콤이 40%나 급등해 가장 눈에 띄었는데, 모바일서비스 시장 호조가 박스권 장세에서 배당주와 통신주의 매력이 겹쳐 부각된 덕분이다. 모바일과 통신이란 요소를 갖췄음에도 유선부문으로 인해 2%대 상승률에 그친 KT와는 대조적이다.
반면 83개 하락종목 가운데 에이블씨엔씨(-51.5%), 삼성엔지니어링(-45.7%), 현대엘리베이터(-40%), 대한항공(-37.7%), 카프로(-33.7%), LG상사(-29.7%), GS건설(-29.2%), 현대증권(-27.1%), STX엔진(-26.5%) 등은 주가의 4분의 1 이상이 허공으로 날아갔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시가총액 상위 100종목 가운데 미디어플렉스(195.6%), 리홈쿠첸(159.4%), 휴온스(100%), KH바텍(93.8%) 등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총 상위 중에는 서울반도체(57.4%), KG이니시스(55.5%), GS홈쇼핑(47.3%), CJ E&M(44.5%) 등이 40% 이상의 수익을 안겨줬다. 반면 오리엔탈정공(-55.5%), 컴투스(-43.9%), 게임빌(-43.4%) 등은 반토막 가까운 부진을 보였다.
회계조작 논란과 신제품 개발, 그리고 해외매각 등의 재료가 뒤엉켰던 코스닥 대장주 셀트리온은 급등락을 거듭했지만, 결국 주가는 연초수준의 원점으로 돌아갔다.
그룹별로는 SK그룹이 총수 부재 속에서 아이러니하게 최고의 한 해를 보내고 있다. SK텔레콤과 SK하이닉스 등의 선전으로 그룹 가치가 10.9%나 올랐다. 연초 부진했던 현대차도 최근 주가반등에 성공한 덕분에 그룹 시가총액이 8.4% 불어났고, 현대중공업그룹도 최근 되살아나는 조선주가 덕분에 가치가 6.6% 높아졌다. 반면 GS그룹은 GS건설 부실로 인해 그룹가치도 7.6%나 쪼그라들었고, 세무조사를 받고 있는 롯데그룹도 가치가 6.3%나 줄었다.
부동의 재계 1위인 삼성도 삼성전자의 예상 밖 주가 부진에다 삼성엔지니어링 등 유망종목의 뒷걸음으로 기업가치가 4% 감소했다. 금액으로만 12조 원에 달한다. 주당 153만 3000원이던 삼성전자 주가가 140만 원으로 처진 게 주요 원인이다. LG그룹은 가치가 1.5% 오르는 데 그쳐, 4위 SK와의 시총 격차가 6000억 원대로 좁혀졌다. 김승연 회장 구속으로 경영공백을 겪고 있는 한화도 기업가치가 2.5% 뒷걸음질 쳤다.
최열희 언론인
펀드 성적표
국내 우선·중소형주 두각 해외 일·미·베트남 돋보여
올해 주식형펀드 시장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낸 것은 우선주·중소형주 펀드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이 집계한 연초 이후 9월 9일까지 주식형펀드 수익률 순위를 보면 신영밸류우선주 펀드가 24.55%의 수익률로 1위에 올라있다. 1조 원 이상 대형 펀드로 대상을 좁히면 신영밸류고배당 펀드가 17.26%로 1위다.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증시가 박스권에 갇히면서 은행 이자 이상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배당주와 우선주 주가가 크게 움직였기 때문이다.
우선주와 배당주를 제외한 일반주식 투자부문에서는 한국투자밸류운용 펀드들이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이 운용사의 간판 10년투자펀드는 연초 이후 12.29%의 높은 수익률로 일반주식에 투자하는 운용액 1조 원 이상 펀드 가운데 1위를 지키고 있다. 이 펀드와 유사한 전략을 펼치는 KB운용의 밸류포커스펀드도 8.23%의 수익률로 같은 기간 코스피 수익률을 크게 앞섰다.
해외주식형펀드에서는 일본펀드의 성과가 단연 돋보였다. 한화운용과 신한BNP파리바운용, KB운용, 삼성운용 등의 일본 주식투자 펀드들은 30%가 넘는 성과를 보이기도 했다. 아베노믹스에 따른 일본 경제 회생 기대감으로 증시가 크게 오른 덕을 본 것이다. 미국 투자펀드들도 일본에는 못 미치지만, 국내 주식형펀드보다는 나은 성과를 냈다. JP모간, 한국운용, 피델리티, KB운용, 신한BNP파리바, AB(얼라이언스번스타인)운용, 미래에셋운용의 미국펀드들이 20%가 넘는 수익을 냈다. 국내 주식형펀드 상위 1%와 맞먹는 성과다.
해외주식혼합(주식+채권) 펀드 가운데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방문한 베트남펀드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최근 베트남 경제가 활기를 띠면서 동양운용, KB운용, 미래에셋운용 등은 20%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지난해까지 각광받던 해외채권펀드들은 초라한 성적표에 머물렀다. 브라질 등 신흥국에 투자하는 해외채권펀드는 -10%를 넘는 손실을 보인 경우가 수두룩했고, 대부분의 펀드들이 마이너스 수익률에 머물렀다. 선진국에 투자하는 열 개 남짓한 펀드가 플러스 수익을 기록했지만, 그 폭이 많아야 4%에도 미치지 못했다.
최열희 언론인
국내 우선·중소형주 두각 해외 일·미·베트남 돋보여
우선주와 배당주를 제외한 일반주식 투자부문에서는 한국투자밸류운용 펀드들이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이 운용사의 간판 10년투자펀드는 연초 이후 12.29%의 높은 수익률로 일반주식에 투자하는 운용액 1조 원 이상 펀드 가운데 1위를 지키고 있다. 이 펀드와 유사한 전략을 펼치는 KB운용의 밸류포커스펀드도 8.23%의 수익률로 같은 기간 코스피 수익률을 크게 앞섰다.
해외주식형펀드에서는 일본펀드의 성과가 단연 돋보였다. 한화운용과 신한BNP파리바운용, KB운용, 삼성운용 등의 일본 주식투자 펀드들은 30%가 넘는 성과를 보이기도 했다. 아베노믹스에 따른 일본 경제 회생 기대감으로 증시가 크게 오른 덕을 본 것이다. 미국 투자펀드들도 일본에는 못 미치지만, 국내 주식형펀드보다는 나은 성과를 냈다. JP모간, 한국운용, 피델리티, KB운용, 신한BNP파리바, AB(얼라이언스번스타인)운용, 미래에셋운용의 미국펀드들이 20%가 넘는 수익을 냈다. 국내 주식형펀드 상위 1%와 맞먹는 성과다.
해외주식혼합(주식+채권) 펀드 가운데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방문한 베트남펀드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최근 베트남 경제가 활기를 띠면서 동양운용, KB운용, 미래에셋운용 등은 20%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지난해까지 각광받던 해외채권펀드들은 초라한 성적표에 머물렀다. 브라질 등 신흥국에 투자하는 해외채권펀드는 -10%를 넘는 손실을 보인 경우가 수두룩했고, 대부분의 펀드들이 마이너스 수익률에 머물렀다. 선진국에 투자하는 열 개 남짓한 펀드가 플러스 수익을 기록했지만, 그 폭이 많아야 4%에도 미치지 못했다.
최열희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