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청와대
2월 25일로 취임 1년을 맞은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 추이에 대해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이렇게 말했다. 그는 지난 1년간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가 내용과 여론조사에 나타나는 지지율 간에 너무 큰 괴리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말을 이어갔다.
“정책 면에서 커다란 성과가 있었나? 국무조정실의 평가 결과가 보여주듯 외교·안보 분야 말고는 내놓을 만한 게 없다. 그렇다면 나라가 조용했나? 인사 참사와 불통 논란, 야당과의 대립으로 싸움이 끊이지 않았다. 상황이 이런데도 박 대통령이 지난 1년간 50% 이상의 안정적 지지율을 유지했다는 것은 미스터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박근혜 정부 집권 1년의 일지를 들여다보면 이런 반응이 결코 과장된 게 아님을 알 수 있다.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에서 시작한 릴레이 ‘인사 참사’, 정부조직 개편을 둘러싼 논란 등으로 박근혜 정부는 출범부터 순탄치 않았다. 오죽하면 박 대통령이 취임 1주일 만인 지난해 3월 4일 격앙된 표정으로 방송 카메라 앞에 서서 야당의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협조를 촉구하는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을까.
국가정보원과 군 사이버사령부 등의 대선개입 논란, 이에 대한 수사 과정에서 발생한 채동욱 전 검찰총장 ‘찍어내기’ 논란, 국정원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 논란 등이 줄줄이 이어졌다. ‘대선 불복’이라는 여당과 ‘공안 통치’라는 야당은 사사건건 충돌하며 1년을 보냈다.
손에 잡히는 성과도 그리 많지 않았다. 북한의 위협과 일본의 역사 도발 등에 대해 원칙을 갖고 뚝심 있게 대응한 것, 해외 순방에서 보여준 세일즈외교 등은 높은 평가를 받을 만했다. 하지만 대선 공약의 두 기둥이었던 경제민주화와 복지는 실종된 지 오래고,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은 여전히 계획으로만 남아 있다. 대통령이 강한 의욕을 보여 온 창조경제는 여전히 애매모호하다. 특히 인사와 소통은 낙제 수준이라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그럼에도 집권 1년차에 지지율 급락을 경험했던 역대 대통령들과 달리 박 대통령이 50% 중반의 지지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이유는 뭘까.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그만큼 박 대통령의 지지기반이 넓고 두텁다는 증거”라고 설명한다. 특정 지역에 지지층이 쏠려 있던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 확실한 지역 기반이 없었던 노무현·이명박 전 대통령 등과 박 대통령은 다르다는 얘기다. 박 대통령은 영남·강원·충청 등 확실한 지역 기반뿐 아니라 60대 이상 보수층의 절대적인 지지를 갖고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이런 높은 지지율이 박 대통령에게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른바 ‘지지율 착시효과’를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정치평론가는 “야권이 대선 패배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바람에 대안세력이 없다는 점도 박 대통령이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는 원인 중 하나”라며 “지지율 거품을 감안하지 않고 독선적 국정운영을 이어간다면 박 대통령은 민심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공헌 언론인